국제 국제일반

국제외환시장, G7회담에 촉각

"弱달러 저지 선진국 공조조치 나오나"<br>IMF "각국 정부 개입해야"

오는 11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선진7개국(G7) 재무장관 회담에서 달러 약세를 막기 위한 선진국들의 공동 조치가 나올지 여부에 국제외환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많은 외환딜러들은 미국의 반대로 달러 약세를 저지할 공동 노력이 나오기 어렵다고는 보지만 달러 약세로 국제유가 및 곡물가 상승 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G7 회의에서 의외의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7일 이번 G7 회의에서 선진국들이 달러 약세를 막기 위해 구체적인 공조 조치에 전격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로이터는 그 근거로 지난해 말 이후 영란은행과 유럽중앙은행 및 일본은행 등이 시중 유동성 공급이나 이자율 인하 등의 조치를 통해 미국의 통화정책을 암묵적으로 지지해온 점을 들었다. 통신은 선진국 간 공조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정부가 위기에 처한 각 금융기관에 일시에 구제금융을 제공하거나 ▦주택담보 모기지 증권을 정부가 전부 사들이거나 ▦각 금융기관들로 하여금 동시다발적인 고해성사를 하게 하는 일 등을 꼽았다. 이와 관련,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현재의 신용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정부 개입의 필요성이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다”면서 “민간 차원에서 자금 문제에 대한 완충장치가 복원되지 않을 경우 공적자금 투입 문제가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 상황은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전세계적 위기”라며 “각국 정부의 개입은 신용위기를 직접적으로 공략하는 ‘최후의 방어선(third line of defence)’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이번주 말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막기 위한 달러 강세 전환에 대해 선진국들이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지난 2주간 미국 상품선물시장에서 달러 약세에 대해 베팅하는 선물 트레이더들의 수가 두배로 늘었다. 특히 전세계 외환거래의 40%를 차지하는 씨티은행ㆍ도이체방크ㆍ스코틀랜드왕립은행 등은 현재 유로당 1.57달러 수준인 달러가 10월 유로당 1.65달러까지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경기침체에 빠져 있는 미국이 달러 약세로 인해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수출 증가세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아담 보이턴 도이체방크 통화전략가는 “달러 약세는 미국경제 회복을 위한 유일한 희망”이라며 “앞으로 수개월 동안 미국경제가 확실히 반등할 조짐을 나타내기 전까지는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