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짐 플래어티 캐나다 재무장관은 미국과 캐나다ㆍ일본ㆍ영국ㆍ독일ㆍ프랑스ㆍ이탈리아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 총재들이 5일 특별 전화회의를 열 예정이며 이 직전에는 G20 재무장관들도 전화로 유럽 위기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특별 전화회의 개최 여부는 사전에 공개되지 않지만, 최근 유럽 위기에 대한 금융시장의 우려가 워낙 커지다 보니 이를 안정시키기 위한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플래어티 재무장관은 "현재 진짜 걱정스러운 것은 유럽"이라면서 "유럽 일부 은행들의 자본이 취약한 것이 특히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다른 국가들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이 카니 미국 백악관 대변인도 4일(현지시간) 기자 브리핑에서 "유럽이 지금까지 취한 조치에 대해 시장은 여전히 회의적"이라면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미 재무부도 이날 성명에서 "앞으로 몇 주간 유럽의 움직임이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G20 정상회의의 후속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세계 각국이 유럽 위기에 대한 공동대응에 나서는 가운데 그동안 유로본드(유로존 공동채권)에 반대했던 독일이 수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한발 물러선 것과 맞물려 유럽 위기의 급한 불을 끌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낳고 있다.
슈테판 자이베르트 독일 총리실 대변인은 4일 "유럽 국가들이 수년에 걸친 재정통합 과정을 거친다면 유로본드 같은 옵션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로존 재정통합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기는 했지만 금기시하던 유로본드를 공식적으로 거론한 것만으로도 진일보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경기둔화로 각국의 정치적 리더십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이 같은 '국제공조'가 과연 실효성을 낼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4일 세계경제가 성장둔화 및 채무위기에 빠지면서 각국 정치 지도자들이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압력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이 필요한 처방에 합의할 것을 기대할 수 없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간 공방전을 일삼고 있으며 유럽 역시 긴축을 주장하는 독일과 최근 정권이 바뀐 프랑스 등의 포퓰리스트 정치인들이 외치는 정부 지출확대의 간극이 크다는 지적이다.
한편 유럽 상황은 악화일로를 겪고 있다. 그리스 국민들은 유로존에서 탈퇴할 가능성에 대비해 유로화를 유통시키지 않고 쌓아두고 있다. 이 때문에 세금을 내지 않는 것은 물론 기업들은 임금을 체불하고 있다. 현금이 바닥나고 있는 그리스 정부는 수출업체들에 부가가치세도 환급해주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4일 그리스가 수개월 내에 유로존을 탈퇴할 가능성이 3분의1(33%)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