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FTA로 활짝 열리는 시장] 車 산업 FTA효과 극대화 하려면

현지생산 비중 늘려 부정적 여론 차단<br>정부 적극지원…부품社 경쟁력 키워야


세계 최대 경제권인 유럽연합(EU), 미국과의 잇따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과정에서 마지막까지 협상 테이블을 뜨겁게 달군 이슈는 단연 자동차였다. 특히 이른바 '퍼주기' 논란까지 불러일으켰던 미국과의 FTA 재협상의 배경에도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견제심리가 작용했다. 이처럼 미국 및 EU와의 FTA에서 우리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분야는 자동차산업이다. 어느덧 우리나라가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으로 우뚝 선 상황에서 FTA 발효로 연간 판매량이 3,000만대를 넘는 미국과 EU의 거대 자동차시장의 빗장이 풀릴 경우 국내 자동차산업은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맞게 된다. FTA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우리 자동차산업의 보다 체계적인 전략이 요구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현지 국가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시장에 안착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FTA 발효에 따른 관세철폐 효과에 급급한 나머지 시장공략에 과도한 욕심을 부리기보다는 세밀하면서도 점진적인 진출전략으로 서서히 현지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인교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는 "본격적인 FTA 시대가 도래하면 한국 자동차에 대한 현지 국가와 기업들의 견제가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다"며 "과거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주도면밀한 시장관리를 통해 현지 기업들의 별다른 반발 없이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수출과 현지생산의 적정한 균형점을 맞추는 전략도 필요하다는 조언도 제기된다. 이번 한미 FTA 재협상 과정에서 한ㆍEU FTA와 마찬가지로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 조항이 새로 추가된 만큼 일방적인 수출확대는 결국 우리에게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허완 자동차공업협회 상무는 "현지의 부정적 여론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현지생산 비중을 늘려가며 수출규모의 완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부품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FTA 시대에 한국 자동차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성공 포인트다. 현재 국내 완성차산업은 세계 5위권에 들 정도로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지만 세계 100대 자동차부품업체 가운데 국내 기업은 단 4곳에 불과하다. 한국산 부품을 찾는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브랜드 인지도가 뒤처지는 게 사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들이 주를 이루는 국내 부품업계의 여건상 정부의 지원이 절실할 수밖에 없다. 최정석 무역협회 무역통상실장은 "단계적으로 관세가 인하되는 완성차와 달리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되는 자동차부품은 무엇보다 개방 초기에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 부품업체들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품질과 기술력을 비롯한 비가격적인 경쟁력을 확보, FTA를 통해 선점한 시장을 안정적으로 지켜나가는 것도 필수과제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주력산업팀장은 "오랜 기간을 거쳐야만 상호 거래가 형성되는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FTA 발효로 판매가격이 떨어지더라도 적기 공급이나 품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현지 바이어와 소비자들에게서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며 "결국 기업은 품질과 기술력ㆍ마케팅 등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역량을 지속적으로 갖춰나가야만 FTA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