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난제 산적한 박근혜 정부 첫 내각

여야 대립으로 정부조직 개편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새 정부의 내각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 1차 조각 발표와 마찬가지로 이번도 긍정적인 면이 적지 않다. 경험과 전문성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이 안정된 국정운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새로 출범할 내각의 앞길은 순탄하지 않아 보인다. 당장 물리적인 일정이 촉박하다. 1주일밖에 남지 않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국회 청문회를 통과하기가 불가능하다. 정부조직개편안도 윤곽조차 못 잡은 마당에 청문회 절차가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그렇다고 국회가 정부조직 개편이나 인사청문회를 일사천리로 마무리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본격적인 인사청문회가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몇몇 국무위원 후보자는 도덕 검증의 도마 위에 올랐다. 자칫 박 당선인의 인사 방식부터 대국회 관계까지 논란이 빚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출범부터 이명박 정부의 장관들을 빌려 국무회의를 치르게 될지도 모른다. 새 정권이 출범하고도 일부 장관 내정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을 마치지 못하는 웃지 못할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우여곡절을 겪고 출발해도 과제는 만만치 않다. 북한의 핵실험으로 안보 비상등이 켜진데다 환율과 수출 급감, 고용과 물가, 전세대란을 포함한 부동산 안정에 이르기까지 난제가 산적한 상태다. 재정안정과 복지지출 확대도 답이 뚜렷하지 않은 채 '대선 공약 준수'라는 약속만 반복해서 메아리치고 있다.

새 내각은 이 모든 과제를 짊어져야 한다. 장관 내정자들은 답답하고 어정쩡한 상황이지만 안보와 경제 면에서 비상상황임을 인식하고 각 부처의 현안부터 챙기기를 바란다. 박근혜 정부 첫 내각의 소명은 경제 살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