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2월5일] 근거없는 '3월 위기설' 싹부터 잘라야

‘3월 위기설’이 시장 일각에서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내년 3월 대규모 외채 만기도래에 따른 외국인들의 자금회수 우려, 경기침체 가속화에 따른 기업들의 자금난과 부도사태 등으로 우리 경제가 대혼란에 빠질 것이라는 게 3월 위기설의 시나리오다. 몇달 전 나돌았던 ‘9월 위기설’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3월 위기설은 여러 정황으로 볼 때 9월 위기설보다 더욱 그럴 듯하게 포장될 가능성이 크다. 우선 내년 2월과 3월에 만기 도래하는 은행권의 외채가 31억달러에 달해 지난해 9월의 6억여달러보다 훨씬 많다. 3월은 일본 금융기관들의 결산기다.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 청산과 결산기가 서로 맞물리면서 자금의 대거 이탈 가능성이 없지 않다. 우리 외환보유액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2,000억달러로 줄었다. 또 금융시장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으며 실물경제도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생산ㆍ수출ㆍ투자ㆍ고용ㆍ소비 등 모든 지표가 내리막길을 달리고 있으며 내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여기다 최근 인터넷에 떠도는 정체불명의 자료들도 위기설을 부추기고 있다. 상황이 9월 위기설이 나돌 때보다 훨씬 좋지 않아 3월 위기설이 먹혀들 여지가 적지 않다. 그러나 외채의 종류와 성격, 보유외환액 등을 감안할 경우 위기설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만기도래 외채가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일은 국가부도 등의 경우가 아니면 생각하기 어렵고 설령 동시회수가 일어나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경상수지 흑자전환도 긍정적이다. 하지만 3월 위기설이 먹혀들 여지가 큰 상황인 만큼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 9월 위기설 확산에는 그저 ‘그럴 리 없다’고 되뇌기만 했던 정부의 안이한 자세가 한몫 단단히 했다. 9월 위기설이 시장불안을 가중시키는 등 우리 경제에 끼친 악영향을 생각하면 이번 3월 위기설은 초동진화로 아예 싹부터 잘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자료와 분석을 근거로 불안감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 시의적절한 경기대책 등으로 시장의 신뢰를 얻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