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에이즈감염자 혈액 혈우병약 원료로 사용

혈우병환자 18명 감염지난 90년대 초 에이즈 감염자가 매혈한 혈액이 국산 혈우병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섞여 들어간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또 이 치료제를 사용한 혈우병 환자들이 무더기로 에이즈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나 인과관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지난 90년 자신이 에이즈에 감염된 사실을 모르고 매혈한 에이즈 감염자 2명의 혈장이 국내 한 제약사가 91년 생산하기 시작한 혈우병 치료제에 원료의 일부로 섞여 들어갔다. 또 이 제약사가 91년부터 93년까지 공급한 혈우병 치료제 주사를 사용한 국내 혈우병 환자 120여명중에서 15% 가량인 18명이 에이즈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보건원 이종구 방역과장은 "이와 관련해 94년과 96년 두 차례 조사위원회를 구성, 역학조사를 벌였지만 환자들이 혈우병 치료제 뿐 아니라 혈장과 혈전 등을 자주 수혈하는 등의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어 문제의 치료제와 에이즈 감염 사이의 뚜렷한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울산의대 미생물학교실 조영걸 교수는 최근 에이즈 관련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당시 에이즈에 집단 감염된 혈우병 환자 4명과 지난 91년 혈우병 치료제 원료로 사용된 에이즈 감염자의 혈액샘플을 분자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 염기서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혈우병 치료제는 작은 출혈에도 피가 멎지 않아 평생 혈액응고인자를 주사 맞으면서 살아야 하는 만성 유전질환인 혈우병 환자를 위한 의약품으로 혈액중에서 혈액응고 성분만을 농축해 제조한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