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윤윤수의 경영미학] 10. 전산화는 이익창출에 기여한다

첫째는 패션의 미래예측에 대한 어려움이고 둘째는 재고 때문이다. 이 두 가지는 알고 보면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하나의 실체라고 볼수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옷을 마구(?) 만들다보니 팔릴 리 없다. 그러니 재고가 산처럼 쌓인다. 이 재고는 온갖 명칭의 세일을 하다가 결국 무게로 달아 파는 「땡」처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무자비한 세일과 「땡」처리 때문에 생긴 손실을 어찌 하겠는가. 처음부터 정상 옷값에 손실액을 얹어 팔지 않을 수 없다.보통 두배 옷값을 치르면서 정상 구매를 하는 셈이다. 게다가 조금이라도 더 팔아 보려고 브랜드 인지를 위한 광고며 행사세일 광고를 퍼부어 댄다. 비싸지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정상 판매율이 50% 정도밖에 안되어 재고가 쌓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미래 예측의 어려움 때문이다. 패션사업의 특성이기도 하다. 반년 또는 일년 후의 고객 입맛을 꼭 맞추기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재질의 원단, 색조, 무늬, 패턴, 디자인, 사이즈 등등을 예측해야 한다. 그런 예측 후 자재를 구입, 생산하여 필요 시점에 시장에 내놓아야 하는 숨 가쁜 사업이다. 일테면 반년 전 폭염 속 한 여름에 겨울 털오버코트를 구상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인체 생리학적으로도 쉬운일이 아니다. 같은 철에 기획을 하자면 일년 전에 해야 한다. 그러나 요즘처럼 하루가 다르게 변하하는 시대에 일년 전 상품기획은 그야말로 옛날 인 셈이다. 어쨌든 상품기획이 되었다 치더라도 상당량을 생산해야 한다. 구매 수량 예측에 자신도 없거니와 생산라인을 돌리는데 최소한의 수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을 통해 시장에 나간 상품이 고객 입맛에 적중하지 않으면 당연히 재고로 남는다. 비통할 노릇이다. 옷 가격이 비싸면서도 패션기업의 실속이 없는 이유가 재고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FILA코리아는 잘 짜여진 전산화로 이러한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했다. 필자가 전에도 전산화가 투명경영에 기여함을 논한 바 있다. 그같이 잘 짜여진 전산화는 즉시적으로 현황을 파악케 한다. 또한 기록과 정보가 스스로 크로스 체크되는 속성 때문에 경영이 투명해 짐을 강조했다. 즉시성과 투명성은 물론, 생산과 판매 현장의 총체적 현황파악과 통제가 가능하다. 이는 가까운 미래 예측과 통제를 가능케 해준다. 그러므로 FILA코리아는 반년 전, 일년 전에 멀리서 상품기획을 할 필요가 없다. 판매 시점 바로 직전에 상품기획을 할 수 있게 생산체제가 놀라운 탄력성을 갖게 되었다. 일테면 한여름 제품을 문턱 가까운 초여름에 상품기획을 한다. 초여름에 팔리는 고객의 취향과 물량까지 참작하여 상품을 기획할 수 있다. 그리고 적정소량으로 신속한 생산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중율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정상판매율이 80~86%에 이른다. 이는 재고가 거의 없다는 말과 같다. 그러니 재고분 만큼 가격을 얹어서 부풀릴 필요도 없다. 잘 짜여진 전산화가 최고의 원가 절감책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품을 사용해 본 고객의 입과 입을 통해 계속 성장해 왔기에 별도의 큰 광고비도 들지 않았다. 적정 가격과 고객 입맛에 맞는 제품은 그 흔한 세일없이도 FILA코리아를 반석 위에 올려놓은 셈이다. FILA코리아의 내수 의류사업은 매년 세후 순 이익율이 10%이상을 유지해 왔다. 건전한 한국의 제조기업일지라도 세전 순이익율이 2~3%에 불과하다. 이 모두가 전산화 덕분이라고 필자는 믿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