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재간접 헤지펀드 안전장치 마련해야"

금감원, 재간접 헤지펀드 쏠림에 ‘경고음’ 최근 증권사에 이어 은행까지 사모 재간접 헤지펀드 판매에 나서는 등 과열되자 금융감독 당국이 운용사와 판매사에 철저한 안전장치를 마련해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일부 운용사들에 재간접 헤지펀드 관련 홍보를 자제하고 개별 상품의 안전성을 보강하라는 내용의 감독 방침을 전달했다. 최근 헤지펀드 관련 보도가 잇따르면서 자칫 헤지펀드 상품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투자자들까지 자금 쏠림현상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지난해 8월부터 증권사들이 해외 헤지펀드 전문 운용사와 판매 제휴를 맺고 재간접 헤지펀드 상품 판매에 나서면서 올 들어서만 30개 재간접 헤지펀드가 설정됐고 1,833억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재간접 헤지펀드 운용에 나서는 운용사들도 늘고 있다. 지난해 8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헤지펀드 투자 컨설팅 및 재간접 펀드 운용 업무를 재개한 데 이어 올 2월 중순부터는 KTB자산운용, 유리자산운용, 동양자산운용이 재간접 헤지펀드 운용에 나섰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최근 재간접 헤지펀드 관련 보도가 잇따르면서 사모 재간접 헤지펀드 상품이 무분별하게 일반 투자자들에게까지 노출되고 있다”며 "상품 출시에 제동을 거는 단계는 아니고 각 상품별로 리스크 관리가 철저히 되고 있는지, 투자자들이 상품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우선 상품 인가 조건을 까다롭게 적용해 운용 안전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박한순 금융감독원 금융투자상품팀장은 “투자 대상 하위펀드의 안전성을 철저히 점검하고 하위펀드 수를 늘려 위험을 분산시키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도할 계획”이라며 “향후 판매 및 운용단계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관리 감독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