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적자금특위 출발부터 삐꺽

양당 조사대상 범위등 입장차 진통국회 공적자금 국정조사특위(위원장ㆍ민주당 정세균의원)는 2일 첫 회의를 열고 조사대상 등을 포함한 국정조사 계획서를 확정해 본회의에 제출할 계획이었으나 대상범위를 놓고 한나라당과 민주당 특위위원간에 의견일 달라 정회되는 등 진통을 겪었다. 한나라당은 공적자금 집행ㆍ감독기관을 포함해 워크아웃 기업 등 114곳에 달하는 공적자금 직ㆍ간접 수혜기업까지 모두 조사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대상기업들의 경영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조상대상을 공적자금 집행ㆍ투입기관으로 국한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한나라당 엄호성 의원은 "이번 국조의 핵심은 공적자금을 투입하게 만든 부실 기업들이 왜 부실해졌는지를 밝히는 일"이라며 "조사대상을 제한하는 일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 송영길 의원은 "검증되지 않은 사실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 대외신인도 하락 등 기업들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맞섰다. 이에 정세균 위원장은 정회를 선언하고 여야 간사간 합의를 촉구했다. 한편 특위는 이날 민주당의 정세균 의원을 위원장으로, 간사는 한나라당 엄호성, 민주당 김효석 의원 등을 각각 선임했다. 김홍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