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메가뱅크' 놓고 외국계證 갑론을박

메릴린치 "낙점 가능성 높다" 맥쿼리 "효율성 저하"

정부가 검토 중인 ‘메가뱅크’안의 현실성을 놓고 외국계 증권사들의 시각이 첨예하게 엇갈렸다. 메릴린치증권은 “정부가 매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메가뱅크를 탄생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 반면 맥쿼리증권은 “담당 부처가 반대하는데다가 단순 합병은 오히려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며 부정적으로 판단했다. 3일 메릴린치와 맥쿼리증권은 메가뱅크 관련 논란과 금융업종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각각 발표했다. 메릴린치는 이명박 대통령의 대형 토종 투자은행 육성 의지를 강조하며 두 가지 시나리오 중에 ‘메가뱅크’가 최종 낙점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메릴린치는 “산업은행ㆍ기업은행ㆍ우리금융지주를 각각 매각할 경우 매수자를 찾기 어려워 제값을 받기 힘들 것”이라며 “매각 가격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세 은행을 묶어서 매각할 가능성이 가장 현실성 있다”고 판단했다. 연기금이 여러 개 은행의 대주주가 될 가능성도 적은데다가 현 정부의 추진력 등을 감안하면 ‘메가뱅크’ 출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맥쿼리증권은 상반된 시각을 나타냈다. 맥쿼리는 “3개 정부 소유 은행의 단순 합병이 글로벌 금융업계에서 한국은행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는커녕 오히려 운영 효율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이 증권사는 또 “금융위원회까지 반대하고 있어 메가뱅크 시나리오는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며 우리금융지주와 기업은행이 각각 민영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맥쿼리는 우리금융지주와 기업은행이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반면 메릴린치는 하나금융지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메가뱅크 출현으로 인한 금융업계 재편 과정에서 규모나 가격면에서 하나금융지주가 인수합병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또 우리금융지주도 메가뱅크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만큼 주가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