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용직 일자리 줄어든다…26년 만에 최저

일용직 일자리 규모가 26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고학력자의 노동시장 진입이 늘고 산업 구조 변화와 경기 침체로 농업·건설업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일당을 받아 생계를 이어가는 근로자 수도 감소하는 추세다.


19일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10월 기준으로 올해 일용근로자 수는 160만2,000명으로 지난 1988년 150만9,000명 이후 2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용직 일자리 수는 경기 상황에 따라 증감을 오가기는 했지만,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82년 125만6,000명에서 1990년 188만3,000명, 2000년 240만5,000명 등으로 지속 증가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2002년 역대 최고인 250만3,000명을 찍은 뒤로는 2005년 222만4,000명, 2010년 180만9,000명 등 하향세로 돌아섰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는 7년 연속 감소세다.

2008년에 전년보다 6만1,000명 줄어든 일용직 일자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불황을 맞았던 2009년(-25만명)에 대폭 감소했다. 이후 2010년(-8만4,000명), 2011년(-9만1,000명), 2012년(-2만6,000명), 2013년(-3만9,000명), 2014년(-5만1,000명) 연달아 줄었다.

전체 일자리 중에서 일용직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하고 있다.


1999∼2002년에는 전체 근로자 10명 중 1명(10% 내외) 꼴로 일용직이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일용직 근로자 비중은 6%대로 낮아졌다.

관련기사



일용직 근로자가 줄어드는 이유는 한 가지로 단정할 수 없다. 고학력 근로자와 상용직 증가, 일용직이 많은 농업·건설업 일자리의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정부 관계자는 “일용직 근로자 감소의 원인을 확실하게 단정할 수는 없지만, 노동인력의 고학력화로 상대적으로 고용이 불안정하고 근로조건이 열악한 일용직 일자리를 꺼리는 추세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고용 계약 관행이 점차 개선되고 숙련 인력, 장기 채용 가능 인력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생기면서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상용직이 늘어난 것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업 구조 변화와 농산물 가격 하락, 경기 침체 등으로 대표적으로 일용직이 많은 업종인 농업과 건설업 고용이 부진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한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그동안은 경기가 안 좋으면 일용직도 줄어드는 추세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일자리 증감과 경기 상황을 연결짓기가 어려워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다만 건설업의 경기 부진과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농업 고용 둔화 등이 하나의 원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늘어난 외국인 근로자가 내국인의 일용직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통계청 고용동향의 바탕이 되는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외국인 가구를 포함해 이뤄지고 있다.

고용동향에 나타나는 일용직 일자리 감소 추세는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근로자의 일용직 일자리 감소까지 반영하고 있다는 뜻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