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충청권 부동산시장 다시 요동칠듯

연말 수兆원대 보상비 대체 투자처 물색 가능성


행정도시 예정지역과 주변지역이 23일 사실상 확정되면서 충청권 부동산시장이 다시 한번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행정도시 예정지역과 일종의 완충 지대인 주변지역을 제외한 연기, 공주, 청원, 대전 일대의 토지에 대한 투자 수요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연말부터 토지보상이 시작되면 수 조원 대의 돈이 대체 토지 및 투자처를 찾아 인근지역으로 몰려 인근 지역 부동산시장 역시 들썩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예정지역 및 주변지역의 경우 지난해 추진했던 신행정수도의 범위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별반 움직임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예정지역에 속한 연기군 금남면, 남면, 동면 등 3개면 28개 리(理)와 공주시 장기면, 반포면 등 2개면 5개리 등은 수용 예정지역이기 때문에 수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오히려 거래가보다 싼 가격에 보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 지금 달려 들었다가는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예정지역 경계에서 4~5km떨어진 주변지역 역시 건축 및 토지형질 변경 등을 금지하고 있는데다 대부분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어 당장 투자 매리트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주변지역의 땅값이 급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행정도시 예정지역에서 농사를 짓던 이들이 보상을 받아 주변지역의 농지를 살 가능성이 크고, 개발 행위가 10년 정도 제한된다고는 하지만 이 지역에 땅을 매입한 사람들 대부분이 장기 투자자이어서 쉽게 팔려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JMK플래닝의 진명기 대표는 “주변지역의 절대농지 가격은 보상비가 흘러 들면서 오르겠지만 임야는 그린벨트로 묶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면서“만약 투자한다면 10년 뒤를 내다본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변지역에서도 벗어난 인근 지역들은 개발행위에 대한 규제가 없고 토지 거래에 대한 규제도 덜해 투자 매력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치원과 충북 오송ㆍ오창, 대전 서구ㆍ유성구 등의 아파트 및 토지 시장은 다시 주목 받을 것으로 보인다. 조치원은 국도 1호선을 통해 행정도시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지역으로 그 동안 토지 가격이 크게 올랐던 곳. 오송과 오창 지역은 각각 생명과학단지 및 과학산업단지가 들어서는 데다 고속철 역세권 지역이라는 자체적인 호재도 갖추고 있다. 충남 연기군 하나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위헌 판결 이후 얼어붙었던 충남 연기ㆍ공주 인근 부동산 시장이 최근 들어 살아나기 시작했다”며 “행정도시 건설이 진행되는 동안 꾸준히 가격이 올라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