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黨·靑관계 재정립' 핵심이슈로

與, 대화채널 복원·당정분리 원칙재고 요구봇물<br>일각선 정무수석제 부활·특별기구 설치 제안도<br>정동영 前통일도 "당 지도부 정치력 강화 필요"

‘유시민 의원 입각’으로 불거진 당청간 갈등이 당청 관계 재정립 요구로 확산되고 있다. 당장 유 의원 입각에 강하게 반대했던 재선그룹에다 일부 중진 의원들까지 가세해 당청 관계 재정립 요구가 순식간에 공론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특히 다음달 1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차기 당권주자들도 거들고 나서 전대 경선 과정에서 최대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관계 재정립 요구의 핵심은 ‘의사소통 시스템의 부재’와 ‘당정분리 원칙 재고’ 두 가지. 참여정부 출범 후 노무현 대통령이 내세운 ‘당정분리’원칙이 기계적으로 적용되다 보니 당청간 긴밀한 소통은 고사하고 수평적 대등관계도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정무수석제 부활 등 당청간 대화채널 복원 주문과 함께‘정권인수위원회’에 준하는 특별기구를 구성하자는 제안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요구의 밑바탕에는 연정 논란 등 큰 사안이 생길 때마다 당이 소외당했다는 불만과 함께 1ㆍ2개각 파문에서 보듯 청와대가 당을 무시하고 군림하고 있다는 판단이 깔려있다. 특히 정세균 전 의장의 산자부 장관 ‘차출’을 계기로 그간 누적된 불만이 폭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 같은 요구가 현실화할 지는 의문이다. 지난 4ㆍ30재보선 참패 이후에도 관계 재정립요구가 빗발쳤지만 ‘정치는 당정분리, 정책은 당정일체’라며 유야무야 됐었다. 게다가 이를 두고도 “청와대가 문제다”,“‘과도기적 진통’에 불과하며 당의 정치력 부재가 더 큰 원인”이라며 ‘친노-반노’간 시각이 엇갈려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당권 주자인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도 ‘당권 강화’를 내세워 앞으로 움직임이 주목된다. 초대 당 의장을 지낸 정 전 장관은 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당청갈등에 대해“지도부가 너무 자주 교체돼 소통과 교감을 구조화ㆍ관행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당 지도부의 정치력 강화가 필요하고 확고한 중심을 세워 내부 통합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