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세계경제 비관적 시나리오 대비해야"

고유가와 미국 달러화 약세, 각국 통화긴축 정책에 따른 유동성 축소 등 세계경제에는 위험요인이 많으며 따라서 비관적 시나리오의 현실화에 대비해 위험관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진병화 국제금융센터 소장이 밝혔다. 진 소장은 19일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국제경영원 최고경영자 조찬 강연회에서한 '하반기 세계경제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강연을 통해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3%에서 지난해(4.8%)보다 높은 4.9%로 상향조정하는등 올해 세계경제의 성장률은 당초 예상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위험요인도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진 소장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로 대표되는 글로벌 불균형과 이에 따른 미국달러화의 신뢰성 저하가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라고 밝히고 이같은 불균형이 급격하게 조정되면 세계경제는 동반 침체에 빠져들 것이며 조정이 지연되면 부담해야할 고통은 증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밖에 △고유가로 인한 성장둔화와 인플레이션 가속화 △주요국의 통화긴축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위축 △조류독감으로 인한 경제활동 장애 등을 세계경제의위험과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들었다. 미국 경제는 당초의 3.2%보다 높은 3.4% 수준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지만 에너지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둔화와 금리 인상으로 인한 주택경기 둔화, 고용경색과 원유 및 1차산품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쌍둥이 적자와 이로인한 자금유입 감소 및 달러화 가치의 급락 등이 위험요인이라고 진 소장은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의 10.1%에 비해서는 낮으나 올해에도 9% 중반의 고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투자과잉과 공급초과, 위안화 절상, 과다한 부실채권, 고유가, 도농간.동서간 격차확대에 따른 사회불안 등이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진 소장은 "외환시장에서 대미 흑자규모가 큰 국가 통화들의 추가강세는 불가피할 전망"이라면서 "이에 따라 수출주도형 성장에서 내수 진작을 통한 성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진 소장은 특히 원화는 외환위기 직후에 비해 명목환율 기준으로 79%, 실질실효환율 기준으로는 51.9% 상승해 경쟁국들보다 월등히 상승폭이 컸다면서 환율관리의중요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