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세계 경제의 축' 중국의 이면 해부

거대 중국을 경영하라: 남상욱 지음. 일빛 펴냄


세계인의 잔치, 올림픽. 개최국으로서는 국가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하지만 이 기회 뒤엔 위기 또한 도사릴 수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보자. 이를 계기로 우리는 민주 의식이 크게 확산됐고 민주화 열기를 바탕으로 정치ㆍ경제 변화를 일궜다. 하지만 올림픽이 끝난 10여년 뒤 우리는 IMF라는 국가 초유의 위기를 경험해야만 했다. 물론 올림픽과 IMF를 연결시키는 것은 다소 논리의 비약이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올림픽 위기설을 믿고 있다. 중국에서 8년여동안 외교관으로 근무했던 저자는 세계 경제의 한 축으로 성장한 중국의 이면을 낱낱이 훑어 본다. 중국의 근ㆍ현대 운명을 쥐고 흔든 공산당의 역사를 비롯해 욱일 승천하는 중국 경제 성장의 배경, 미국을 위협하는 군사력 등 중국을 바라보는 그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다. 저자는 중국의 비약적인 발전을 믿는 낙관론만 펼쳐놓은 것도 아니다. 불균형 성장으로 인한 주민 소요, 저효율 성장의 한계, 지나친 외국인 투자 의존도 등 중국 경제를 경착륙으로 이끌 비관적인 요소도 빼놓지 않고 있다. 그 중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위기설은 꽤 눈길을 끈다. 저자는 중국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올림픽을 계기로 민주화 열기가 높아져 정치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고 이를 계기로 금융 부실 등이 터지면서 경착륙으로 이어질 것이란 일부 학자의 경고에 주목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