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OPEC 수입증가, 고유가 충격 흡수효과"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이 지난 70년대의 석유파동 때와는 달리 최근 유가상승으로 벌어들인 오일달러를 대외 수입에 대거 사용, 세계 경제에 미치는 고유가의 충격이 과거보다 크게 완화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 온라인이 14일 보도했다. 특히 OPEC회원국들의 인구가 70년대보다 크게 늘어 수입규모가 커진데다, 이들국가의 사회간접자본과 산업시설 투자도 대폭 확대돼 유가 상승에 따른 세계 경제의 충격이 상당부분 재흡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지난해 11개 OPEC회원국들의 석유수출 총액은 3천166억달러로 전년대비 34%(793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이들 국가의 지난해 대외수입 총액은 2천209억달러로 2003년보다 13%(260억달러) 늘어난 것으로 추산돼 유가상승에 따른 오일달러의 3분의1 가량은 외국제품의 수입에 다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메르세데스 벤츠S 클래스 등 고급차 수요가 급증한데 힘입어 다임러크라이슬러사의 중동지역 매출이 지난해 최고 기록을 세웠고, 캐논사는 디지털카메라 등의 판매신장으로 작년 중동매출이 38% 급증했다. 항공기회사인 에어버스는 지난해 걸프지역 항공사들이 신형 A380여객기를 51대나 주문해 중동매출이 5년만에 두 배로 뛰는 특수를 누렸다. 중동국가들은 넘쳐나는 오일달러로 국제 금융시장 투자에도 적극 나서 지난해미국 증시에서만 202억달러어치를 매입했고, OPEC회원국에다 러시아, 멕시코, 바레인, 가봉, 오만 등의 산유국까지 합치면 작년 미 증시 순매수액은 677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이들 국가의 2003년의 미국 증시 매입액보다 4배나 늘어난 것이며, 유럽국가들과 중국의 작년 미 증시 투자액에 비해서는 각각 25%와 43%가 많은 것이다. 또 중동 각국 정부들의 사회간접자본과 산업시설, 석유 가스개발투자 등도 한층 활발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OPEC국가들의 오일 달러 씀씀이가 커진 것은 지난 70년대의 석유파동 때와 좋은 대조를 보이는 것이다. 1978년 817억달러였던 OPEC회원국들의 석유수출 총액은 1980년엔 1천723억달러로 불과 2년만에 배 이상 늘었으나, 이들 국가의 대외수입 총액은 1974년 744억달러에서 1979년 718억달러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는 OPEC국가들의 경제가 아주 뒤져 있어 수출입항만 적체 등을 소화해낼 여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이들 국가의 경제가 크게 발전하고, 1979년 3억1천200만명에 불과했던 OPEC회원국들의 인구도 5억2천600만명으로 69%나 늘어 고유가에 따른석유수출 대금의 상당부분이 수입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두둑해진 오일달러로 수출증대의 덕을 본 나라들로는 지난해 1-9월 OPEC지역 수출이 27% 늘어난 유럽연합 국가들이 가장 먼저 꼽혔으며 일본(21%)과 미국(15%), 중국(16%)의 OPEC 수출도 평균 증가율을 웃돌았다. 이처럼 고유가에 따른 세계 경제의 충격을 OPEC회원국들이 상당부분 흡수해내고있다는 시각은 OPEC의 고유가 정책 고수를 부추길 수 있는 측면도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