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파업중 불법, 반드시 문책"

金노동 회견… 한미銀노조 여주로 옮겨 농성

"파업중 불법, 반드시 문책" 金노동 회견… 한미銀노조 여주로 옮겨 농성 • 한미銀 노조 "장기전 대비하자" '목마른 노동부 장관.' 김대환 노동부 장관이 6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경제정책협의회에서 한미은행 파업 장기화 대책을 논의하며 답답한지 차를 마시고 있다. /연합 김대환 노동부 장관은 6일 현재 파업 중인 한미은행은 물론 전달 협상을 타결한 보건의료 노조의 경우에도 파업과정에서 노출됐던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 반드시 사후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12일째 지속되고 있는 한미은행 노사분규에 대한 정부입장을 발표, "그간 불법으로 규정된 두 가지 행위 중 로비 점거농성 해제는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단체협약상 파업참가 대상이 아닌 전산실 직원도 즉시 현장에 복귀시키라"고 촉구했다. 김 장관은 이어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반드시 (사후)책임을 묻겠다는 게 정부의 기본방침"이라며 "이런 차원에서 전달 보건의료 노사간 협상이 타결됐지만 노조가 파업과정에서 행했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그간 수집한 증거를 바탕으로 반드시 의법조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미은행 전산센터는 파업 전 당초 160명으로 운영돼왔으나 파업에 돌입하면서 25% 수준인 43명만 근무하고 있는데다 파업 장기화로 근무자들의 피로가 누적돼 외환ㆍ여신ㆍ타행송금 등이 원활하지 못하고 처리시간이 지연되고 있다. 한편 한미은행 노조는 사측의 업무복귀 명령을 거부하고 농성장소를 한미은행 본점에서 한국노총 여주연수원으로 옮겼다. 이에 따라 12일째로 접어든 총파업이 더욱 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양정주 금융노조 선전본부장은 이와 관련해 "본점 점거농성이 사측과 정부의 공권력 투입 명분이 되는 만큼 불법 시비를 차단하기 위해 농성장을 옮기기로 결정했다"며 "그러나 노조 간부들은 모처에 남아 은행측과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은행 노사 양측은 지난 5일 밤부터 6일까지 실무협상과 대표자회의 등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사무직 전면 폐지와 자동호봉 승급제 실시 등 핵심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정승량기자 schung@sed.co.kr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입력시간 : 2004-07-06 17:5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