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기아차 '나홀로 美 질주'

9월 판매량 작년 동기比27% 급증… 美·日 업체는 줄어

현대ㆍ기아자동차가 지난 9월 미국에서 주요 자동차업체들 가운데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증가했다. 현대차미국법인(HMA)은 1일 미국시장의 9월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27.2% 증가한 3만1,511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기아차미국법인(KMA)도 9월 2만1,623대를 판매, 지난해 9월보다 24.4% 늘어났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중고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이 끝나 자동차 산업수요가 위축됐지만 싼타페 구매 고객 등에게 추가 판촉 프로그램을 시행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아차 역시 신차 쏘울과 포르테가 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며 판매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으며 올해 말 조지아 공장의 본격 가동으로 소비자들의 기아차 인지도와 선호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미국과 일본 업체들은 미 정부의 '중고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이 8월 말 끝나고 자동차 수요가 급감한 영향으로 일제히 판매량이 줄었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한 15만6,673대를 판매했고 크라이슬러 역시 42%가 줄어든 6만2,197대를 팔았다. 그동안 미국 업체들 중 상대적으로 판매실적이 좋았던 포드자동차도 2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 증가를 기록하다 9월에는 5.1% 줄어든 11만4,241대를 파는 데 그쳤다. 또 '중고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의 혜택을 가장 많이 봤던 일본 업체들도 부진을 면하지 못했다. 도요타가 지난해보다 12.6% 감소한 12만6,15대를 판매한 것을 비롯해 혼다가 20% 줄어든 7만7,229대, 닛산이 7% 적은 5만5,393대를 각각 판매했다. 미국시장 전체로는 9월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23%가량 감소해 연 환산판매대수(SAAR)가 900만대 수준에 머물렀다. 한편 정의선 현대ㆍ기아차 부회장은 최근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의 장남인 조원태 대한항공상무에게 현대차의 미국 앨라배마 공장이 위치한 몽고메리시(市)까지 직항 개설을 검토해줄 것을 요청했으며 대한항공 측은 직항 개설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