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DTI 규제 확대…노원·도봉등 비투기지역 반응

투자심리 위축…거래 끊겨<br>2금융권 대출까지 조여 매수자 부담감 커져<br>"매물늘리는 정책없어 집값안정 한계" 시각도



DTI 규제 확대…노원·도봉등 비투기지역 반응 투자심리 위축…거래 끊겨2금융권 대출까지 조여 매수자 부담감 커져"매물늘리는 정책없어 집값안정 한계" 시각도 이연선 기자 bluedash@sed.co.kr 김광수기자 bright@sed.co.kr 주택투기지역에 적용됐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투기과열지구까지 확대된 것에 대해 이 지역 부동산시장은 주춤거리는 분위기다. 현재 서울에서 아직 투기지역으로 지정되지 않고 남은 지역은 노원ㆍ도봉ㆍ동대문ㆍ서대문ㆍ중랑 등 5개 구. 이들 지역은 이달 초 투기지역 후보지 명단에 올랐고 이달 말 열리는 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 심의를 기다리는 상태였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은행은 물론 2금융권 대출까지 규제가 앞당겨지면서 심리적 부담감은 한층 커졌다. 동대문구 장안동 삼성래미안2차 40평형이나 현대홈타운 40ㆍ50평형대의 경우 6억원이 넘지만 현재 거래는 끊긴 상태다. 장안동 R공인의 한 관계자는 “은행에서 대출을 최대한 받아 매수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대출이 막히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집을 팔고 들어오는 실수요자라면 40% 대출로 충분히 자금마련이 가능하지만 투자자라면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원구 중계동 W공인 관계자는 “비투기지역까지 6억원 초과 아파트의 대출 규제가 적용되더라도 바로 효과를 보긴 힘들 것”이라며 “3억~4억원까지 대출 규제를 강화한 것은 아닌 만큼 부동산시장 전체가 타격을 입진 않겠지만 6억원 이상만으로도 과열됐던 시장을 다소 안정시키는 효과는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억제가 집값을 안정시킬 수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도봉구 창동 B공인의 한 관계자는 “6억원 초과에 대한 대출 규제는 집값을 내리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역효과만 가져올 수 있다”며 “정부는 양도세를 한시적으로 낮춰 매물을 늘리고 가격을 떨어뜨리는 정책을 썼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서대문구 연희동 S공인 관계자도 “대출 규제를 받는 아파트가 거의 없는데 몇 가구 되지도 않는 사람을 막겠다고 이런 대책을 내놓냐”며 “대출받기 어려워지면 피해를 입는 것은 결국 서민층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함영진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대출 규제는 심리적 부담감을 주겠지만 단기적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며 “이사철이 시작되는 내년 상반기 이후까지 강보합을 유지하다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입력시간 : 2006/11/15 15:5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