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출 2,000억달러 시대] 브릭스, 새 수출무대로 뜬다

러시아·브라질·인도등 신흥시장 적극공략 2006년 750억弗넘어 전체 30% 달할듯

중국 뿐만 아니라 러시아, 인도, 브라질 등 신흥시장이 한국의 새로운 수출 주력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90년대 말부터 빠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소위 브릭스(Bricsㆍ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영문 머리 글자의 조합) 국가는 세계 인구의 40%가 훨씬 넘는, 세계 최대의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기업들이 적극 공략하고 있다. KOTRA는 최근 “국내 기업이 브릭스 4개국에 대한 투자를 집중적으로 늘리고 있어 2006년에는 대브릭스 수출이 750억달러를 넘어서며 전체의 30%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브릭스 지역에 대한 우리나라의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4.6% 증가한 271억6,000만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상반기 통계지만, 수출증가율이 높아 브릭스 지역이 예상보다 일찍 ‘수출 한국’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브릭스 지역 수출 비중은 2000년 12.9%에서 2001년 14.7%, 2002년 16.9%, 지난해에는 21.0%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품목별로는 컴퓨터 29억9,700만달러, 무선통신기기 24억4,800만달러, 합성수지 16억3,100만달러, 철강제품 15억4,600만달러 등의 순이다. 수출증가 기여도는 컴퓨터(15.8%), 광학기기(8.7%), 반도체(7.5%), 자동차부품(6.5%) 순으로 나타나 IT제품과 산업생산용 원부자재의 수출이 수출증가를 주도했다. 브릭스 지역에서 한국 상품의 시장점유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10.4%였던 우리 상품의 점유율이 상반기에는 11.0%로 증가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중국의 수입순위 3위를 지켰다. 러시아 역시 0.5% 늘어난 3.1%로 한국상품의 점유율이 늘어나면서 수입순위도 2계단 뛰어오른 11위로 집계됐다. 브라질과 인도시장에서도 각각 수입순위 9위와 8위를 차지했다. 정부는 브릭스 각국의 수입시장 증가 및 한국의 수출품목 현황을 고려해 국가별로 ▦브라질-반도체, 자동차부품, 컴퓨터 및 부품, 액정디바이스 ▦러시아-자동차,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기타기계 ▦인도- 컴퓨터 및 부품, 유선통신기기, 기타기계, 자동차 및 부품 ▦중국-반도체, 기타기계, 컴퓨터 및 부품 등을 수출유망 품목으로 분석했다. 홍희 KOTRA 해외조사팀 차장은 “브릭스 시장이 고속 성장하면서 삼성, 현대차, LG 등이 제품 경쟁력 강화와 적극적인 시장개척에 나서고 있다” 면서 “다만 대기업에 치우쳐 있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