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 재정절벽 우려 점차 현실 기업·정치권 본격 대책 마련

연말까지 합의 가능성 낮아

그동안 막연한 걱정거리로만 여겨졌던 미국의 '재정절벽(fiscal cliffㆍ정부 재정지출의 갑작스런 중단이나 감소로 발생하는 경제 충격)' 우려가 현실화할 조짐을 보이자 미국 기업들도 유동성 확보 등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나서기 시작했다. 미 의회가 대규모 감세조치 시한이 만료되는 올해 말까지 재정정책에 대한 전면 합의를 도출해낼 가능성이 점점 희박해지고 있는 탓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제너럴일렉트릭(GE)이 재정절벽의 충격에 대비해 내년 2월까지 상환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 50억달러어치를 최근 조기 차환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만에 하나 재정절벽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차입여건이 악화하는 경우에 대비해 유동성을 강화하려는 조치다.


케이트 셔린 GE 재무담당최고책임자(CFO)는 "재정절벽이 해결되지 않아도 걱정이 없도록 지난 10월 (일찌감치) 차환했다"고 설명했다.

FT는 GE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던 다른 기업들도 시장 변동성이 증폭돼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되는 데 대비해 유동성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딜로직에 따르면 지난 한주 동안 미국시장에서 발행된 투자등급 회사채는 올 들어 최대 규모인 약 260억달러어치에 달했다. 오라클이 기존 채무를 차환하고 주식환매용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50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한 것을 비롯해 유나이티드헬스케어ㆍ엑스트라타 등도 대규모 채권거래에 나섰다고 FT는 설명했다.


한편 기업들이 이처럼 대책마련을 서두르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최악의 재정절벽을 피하기 위한 물밑논의가 벌어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내년 1월2일 자동적으로 시행되는 1,090억달러 규모의 재정지출 삭감에 대신해 우선 내년 초부터 6개월 동안 550억달러를 삭감하는 임시대책이 미 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22일 전했다. 우선 6개월간의 정부지출 삭감안을 마련해 시간을 벌고 재정절벽에 따른 시장 혼란과 경기침체를 막으며 추후의 재정적자 삭감 문제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하자는 것이다.

관련기사



미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미 의회가 재정절벽 해소에 합의하지 못해 내년 1월부터 재정지출 감축과 증세가 실현될 경우 미국경제는 6,000억달러의 부담을 안고 침체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다만 이 같은 방안은 현재 보좌관 차원의 초기 단계 논의에 그치고 있어 의원들의 공식적인 지지를 얻지 못하는데다 오는 12월31일 종료되는 4,000억달러 규모의 감세조치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로이터 통신은 지적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