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LTV·DTI 연장이 가계부채 연착륙 정책이라니

경기부양을 위한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가 7월 말 시효를 넘겨 1년 더 연장될 듯하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행정지도 성격인 LTV·DTI 규제 완화의 1년 연장에 대한 이의신청을 17일까지 접수한 뒤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한 현행 LTV 70% 기준과 DTI 60% 기준을 내년 7월 말까지 유지할 방침이다.


모처럼 나타난 경기회생 기운을 유지하기 위한 LTV·DTI 규제 완화 연장이라면 토를 달 이유가 없다. 실제로 올 들어 4월 주택 거래량은 12만488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3%나 급증하는 등 규제 완화 효과가 있었다. 4월 신용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이 15.3%로 치솟고 대형 가전제품과 국산 승용차 내수판매가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소비자심리지수에도 조금씩 회생의 기운이 감돌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서'라는 명분을 전면에 내걸었다. 엉뚱하기 짝이 없다. LTV·DTI 규제 완화로 돈 빌리기가 쉬워지면서 가계신용 규모는 지난해 2·4분기 말 1,038조3,000억원에서 올 1·4분기 말 1,099조3,000억원으로 61조원이나 불어났다. 드러난 통계가 이런데 연착륙이라는 정부의 주장을 납득할 수 있겠나. 게다가 가계부채의 질을 평가하는 잣대가 되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한국은 160.7%로 미국의 115.1%보다 월등히 높다.

국제통화기금(IMF)마저 "가계부채 등으로 한국의 성장 모멘텀이 떨어지고 있다"고 경고하는 상황이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가계부채는 이미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된 지 오래다. 오죽하면 최근 한국은행의 '금융시장의 시스템적 위험' 조사에서조차 가계부채 문제가 올해 한국을 금융위기에 빠뜨릴 가장 위험한 요인으로 꼽혔겠는가. 더구나 조사에 응한 금융전문가의 32%가 "1~3년 사이 금융위기가 발발할 확률이 높다"고 했다.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마냥 쉬쉬할 형편이 아니다. 정부 정책이 좀 더 정직해질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