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철강사 中 진출 차질 우려

포스코·동부제강등 기존전략 수정 불가피

중국 정부가 철강산업 규제를 대폭 강화함에 따라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의 중국 진출에 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20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외국 자본에 대해 중국내 철강사의 지배주주가 될 수 없으며 신규 제철소 건설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과거 중앙정부의 승인과정에서 50% 이상의 지분 확보를 봉쇄해왔지만 이를 명문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오랫동안 중국 진출을 노려왔던 포스코의 경우 기존 전략에 전면적인 수정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입장에선 기존의 중국 설비를 매입하더라도 지배주주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는 “포스코는 중국내에 14개의 자회사를 거느리는 등 중국내 고로사업 진출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며 “그러나 철광석 등 원자재뿐만 아니라 전력ㆍ환경 문제로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정책 방향과 정면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동부제강 역시 중국 진출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동부제강의 한 관계자는 “중국 철강사의 인수합병(M&A)을 검토한 후 중국내 철강사의 구조조정 마무리 시기를 진출의 호기로 판단했다”며 “이번 정책 발표로 중국 진출의 가능성이 낮아진 만큼 대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INI스틸의 경우 지난 2004년 중국정부에 H형강 건설 투자계획을 중앙정부의 반려로 승인이 나지 않아 중국 프로젝트를 철회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정책 발표로 중국내 중소 철강사의 구조조정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제 철강재 가격 안정화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