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태양전지용 웨이퍼 원가 50% 절감 공정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반도체 소자에 광범위하게사용되는 '태양전지용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대량 보급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실리콘 웨이퍼는 고온에 강하고 독성이 없어 환경적으로 우수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 우리 기업들이 선진국보다 35%나 비싼 소재비용을 지불해왔다. 생산기술연구원은 지난 2002년부터 3년간 전자기 이론을 응용한 공정기술 개발에 주력해온 결과 기존 제조기술보다 생산성이 5배 높고 원가의 50%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원측은 "이번 개발에 이어 양산을 위한 연구가 차질없이 진행될 경우 우리나라는 현재 메모리 반도체 시장과 맞먹는 규모로 커진 태양전지 산업에서 세계적인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혁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