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천문硏, 세계최고 수준 우주관측망 구축

직경 21m 세번째 망원경 울산대에 설치

한국천문연구원이 연세대ㆍ탐라대에 이어 울산대에 직경 21m짜리 전파망원경을 갖춘 천문대를 준공, 세계 최고 수준의 우주관측망을 구축했다. 천문연구원은 지난 2001년부터 380억원을 들여 3곳에 전파망원경을 설치하고 통합 운영, 직경 500㎞에 이르는 거대한 전파망원경의 성능을 구현하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ㆍKorean VLBI Network)'을 구축했다. 이 관측망은 울산에서 한라산 꼭대기에 놓인 쌀의 형태까지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뛰어나다. 특히 은하 관측에 걸림돌이 됐던 대기권의 수증기를 보정할 수 있는 129㎓의 주파수를 포함해 4개 대역(22ㆍ43ㆍ86ㆍ129㎓)의 주파수를 동시에 채택했다. 천문연은 1∼2개 채널을 갖춘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의 전파망원경 관측망이 X-레이ㆍ돋보기 수준이라면 우리 관측망은 CTㆍ현미경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김효령 천문연 전파천문연구부 박사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 준공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천문연구 분야의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됐다"며 "명확하고 심도 있는 은하 관측을 가능하게 해 우주 생성의 비밀을 파헤치고 새로운 별을 찾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문연은 오는 2011년부터 일본 관측망과 연계해 직경 2,500㎞급 동아시아 전파관측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