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재식의 스마트 골프] <16> 하이브리드 클럽 다루기

오른발로 지면 밀면서 몸 왼쪽으로 무너지지 않게 <br>그린 주변 러프에선 퍼팅 하듯 칩샷도 효과적

하이브리드 샷도 다운블로스윙을 구사해야 한다. 오른발로는 지면을 차주고 왼쪽에는 벽을 단단히 쌓는다.

그린 주변의 잔디 저항이 큰 위치에서는 퍼터 대신 하이브리드 칩샷을 해도 효과적이다.


골프에서 ‘이종교합’의 우수성을 증명한 사례 중 하나가 하이브리드 클럽입니다. 일명 ‘고구마’라 불리는 하이브리드는 페어웨이우드만큼 거리를 내면서도 롱 아이언보다 높은 탄도의 샷을 날릴 수 있어 먼 거리에서 그린을 직접 공략하기에 적합하죠. 하이브리드는 헤드의 바닥 부분인 솔이 넓고 무게중심이 뒤쪽에 있어 러프에서도 잔디의 저항을 덜 받는답니다. 이러한 이점 덕에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 프로골퍼들도 최근에는 3번 아이언을 골프백에서 빼고 하이브리드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지요. 그렇다고 하이브리드가 언제나 ‘굿 샷’을 보장하는 건 아니랍니다. 클럽의 길이에서 오는 부담감이 따를 수밖에 없거든요. 아마추어 골퍼들은 긴 클럽은 ‘쓸어 친다’고 오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롱 아이언도 다운블로로 눌러 쳐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 하이브리드도 마찬가지입니다. 완만한 궤도로 휘두르게 되면 뒤 땅을 칠 위험이 커지거든요. 다행히 헤드 형태 덕분에 뒤 땅을 쳐도 아이언보다는 좀더 전진하겠지만 그래도 거리 손해는 크죠. 이 점을 감안해 3번 아이언 때보다는 약간 우측(양 발의 중간 또는 약간 왼쪽)에 볼을 두고 예각의 다운블로 스윙을 구사해야 한답니다. 볼을 일부러 띄우려고 하면 다운스윙에서 손목이 일찍 풀리고 임팩트 순간 상체가 뒤로 젖혀지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무게중심이 뒤쪽 낮게 배치된 하이브리드의 경우 탄도가 높아 소위 볼이 밀리거나 날린다고 하는 현상이 나올 수도 있죠. 다운스윙에서 오른발로 지면을 강하게 밀면서 체중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몸 왼쪽에는 벽이 가로막혀 있는 느낌을 가지면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임팩트 순간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골퍼도 상당수가 있지요. 장타를 치려는 욕심에서 비롯됩니다. ‘엎어 치게’ 되면서 대부분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슬라이스가 날 겁니다. 이런 분들은 다운스윙 때 몸의 오른쪽 45도 뒤편에 큰 원을 그려준다고 생각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헤드는 자연스럽게 인사이드-아웃 궤도로 흐르게 될 거예요. 기본적으로 거리가 많이 나는 클럽이라는 생각을 갖고 부드럽게 휘두르면 기대만큼 거리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한 가지 더. 하이브리드는 칩샷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린 주변, 특히 볼이 에지와 러프 사이에 있거나 잔디의 저항이 커 퍼터를 사용하기 곤란할 때 유용한 무기가 될 수 있죠. 퍼터처럼 잡은 후 퍼팅 스트로크를 구사하면 됩니다. 볼을 오른발 앞쪽에 놓고 치면 로프트 때문에 볼은 살짝 떴다가 부드럽게 굴러갑니다. 다만 퍼터보다 샤프트가 긴 만큼 자신도 모르게 백스윙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미국 PGA 클래스A 멤버ㆍ화성골프아카데미 헤드프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