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그리스 구제금융 내달초 80억유로 집행"

EFSF 증액 의회 통과 슬로바키아 한곳만 남아<br>그리스 민간 채권단 원리금 탕감도 의견 접근<br>IMF·EU·ECB 실사단은 그리스 재정계획 점검


그리스 채무 삭감과 유럽재정안정기구(EFSF) 기금 확충, 유럽 은행 자본 확대 등 유로존 위기를 잠재우기 위한 방안들을 망라하는 이른바 유로존 '그랜드 플랜'의 가닥이 잡히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10일 유럽 시중은행의 자본금 확충에 합의한 데 이어 EFSF 증액을 위한 17개 회원국들의 의회 통과 절차는 마지막 슬로바키아 한 곳만을 남기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ㆍ유럽연합(EU)ㆍ유럽중앙은행(ECB)으로 이뤄진 '트로이카' 실사단도 그리스 재정계획 이행상황 점검을 마무리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 유로존 내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EU정상들이 2주 후에 발표할 그랜드 플랜에는 그리스 구제자금 지원 결정과 유럽 은행의 자본확충을 위한 새로운 전략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17일부터 열릴 예정이던 EU 정상회담이 미뤄진 것도 트로이카 실사 결과를 토대로 정상회담까지 최종안을 마련하기 위한 결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헤르만 반롬푀이 EU상임의장은 "EU 정상들이 위기 극복방안을 최종 확정하기 위해 정상회의를 연기했다"고 밝혀 재정위기 해소방안 마련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FT는 "프랑스가 4,400억유로의 EFSF를 통한 은행 자본 확충안에 대해 독일과의 상당히 이견을 좁혔다"며 "유럽 관리들은 은행들이 금융시장에서 자본 확충을 하지 못할 경우 일단 각국 정부가 지원에 나서고 EFSF는 최악의 경우에만 이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확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은행 자본확충 방안만큼이나 첨예한 신경전을 펼쳐 온 그리스 민간 채권단의 원리금 탕감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토머스 쿨리 미국 뉴욕대 교수는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사르코지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가 이번 회동에서 (원리금 탕감에 관해) 상당 부분 의견 일치를 봤다"며 "메르켈 총리도 프랑스의 입장을 이해해 그리스의 질서 있는 디폴트(채무불이행)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고 밝혔다. 자본 확충 방안이 구체적으로 나오면 마지막 조건인 채권 은행들의 고통분담(원리금 탕감)은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그리스 채권은행들은 올 7월 유럽 정상들의 합의에 따라 원리금 21%를 깎아주기로 했지만 그리스가 긴축 약속을 지키지 못해 위기가 악화됐다. 추가 탕감의 필요성이 제기된 가운데 전문가들은 채권은행 고통분담이 원리금의 50%를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마르코 크라니예크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이사 겸 슬로베니아 중앙은행 총재는 "그리스의 부채가 재조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그리스가 디폴트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랜드 플랜을 둘러싼 막판 변수들이 남아 있어 정상회담까지 최종 방안이 확정될 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유로존의 운명을 결정지을 핵심 변수는 트로이카의 실사결과 보고서다. 오는 23일 제출될 실사 보고서가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을 경우 그리스 구제금융 집행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이는 은행 자본확충방안과 EFSF 확대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