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언제까지 이고생" 출퇴근시민 분노

철도 파업 이틀째인 26일 전국의 철도운송이 절반 이상 마비돼 시민들의 출퇴근길 불편이 극심했다.게다가 산업체 화물수송에도 차질이 빚어져 '교통ㆍ물류대란'이 이어졌다. 또 시민들이 전철을 피해 자가용과 버스ㆍ택시 등을 이용, 버스정류장 등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 혼잡했고 인천ㆍ안산 등 수도권 지역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주요 간선도로에는 차량들의 거북이 운행이 거듭됐다. ◇철도망 마비 서울과 인천ㆍ수원 등을 연결하는 국철 1호선 구간의 운행률은 이날 67.4%로 전날보다 약간 올라갔지만 서울 지하철과 연계가 적은 경인선과 경수선은 각각 38.6%, 47.5%에 불과했다. 시민들이 서둘러 출근길에 나서거나 대체교통수단을 이용한 탓인지 각 구간의 승강장에는 전날과 같은 큰 혼잡은 없었으나 평소에 비해 붐비기는 여전했다. 서울역 중앙관광안내소에는 예매 승객들이 열차운행 중단을 역 당국으로부터 뒤늦게 통보받았다며 몰려와 격렬하게 항의하는 소동도 빚어졌다. 전국 철도망의 경우 새마을호ㆍ무궁화호ㆍ통일호 등 여객열차의 운송률은 29%, 국내 화물운송의 '동맥'인 화물열차는 평소 물량의 10%에 그치는 등 '물류대란'도 이어지고 있다. 화물운송의 경우 평소 12만~13만톤에서 1만3,800여톤으로 급감했다. ◇교통체증 심화 철도 파업으로 시민들이 승용차를 끌고 나오거나 버스ㆍ택시 등 대중교통으로 몰리면서 서울 진입도로 대부분에서 '교통 도미노' 현상이 나타났다. 일부 간선도로는 차량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아예 주차장으로 돌변했고 출퇴근길 정체 시작시간도 평소보다 20분 이상 빨라졌다. 경인로는 영등포 방향에서 정체시간이 평소보다 20분 가까이 앞당겨진 오전6시50분부터 시작돼 차량들이 꼬리를 물었고 7시30분을 넘어서는 아예 시속 5㎞ 미만으로 떨어졌다. 의정부에서 서울 노원 방향을 거쳐 시내로 연결되는 동부간선도로 월계1교에서 중랑교 구간은 시속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고속도로도 철도 파업의 여파로 승용차들이 몰려 판교~한남대교, 일산~판교 방면 등에서 차량들로 크게 붐볐다. ◇공항ㆍ버스터미널 공항과 고속버스터미널에도 대체교통수단을 찾아 밀려든 승객들로 붐볐다. 동서울고속터미널과 강남고속터미널에서는 이틀째 고속버스를 이용하려는 시민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이날 오전 호남선은 평소의 2배에 이르는 1,500여명이 고속버스를 이용했으며 경부선도 평소 1,700여명에서 3,200여명으로 버스 이용객들이 대폭 늘어났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도 제주를 제외한 국내선 전 노선의 예약률과 탑승률이 평소에 비해 30~40% 가량 치솟았다. /사회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