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제조업체 3곳중 1곳 영업익으로 이자도 못내

환율·유가 영향 기업수익성 3년來 최악…한은 '2분기 기업경영 분석'


환율 하락과 유가 상승의 여파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최근 3년새 가장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적자기업은 크게 늘어났고 제조업체 3곳 중 한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기 힘든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6년 2ㆍ4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6.7%로 지난해 2ㆍ4분기(8.3%)에 비해 1.6%포인트 떨어졌다.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지난해 2ㆍ4분기에 1,000원어치를 팔아 83원을 남기던 기업들이 올 2ㆍ4분기에는 67원밖에 벌지 못했다는 의미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2ㆍ4분기중 원ㆍ달러 환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나 하락한데다 원유가격(두바이유 기준) 역시 35.5%나 급등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말했다. 고수익 기업은 줄고 적자기업은 늘어났다. 경상이익률이 20%가 넘는 고수익 제조기업은 지난해 1ㆍ4분기 8.6%에서 올 2ㆍ4분기 6.5%로 줄어든 반면 경상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지난해 2ㆍ4분기 25%에서 올 2ㆍ4분기 31.4%를 기록해 30%대에 진입했다. 이처럼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인 이자보상비율도 지난해 2ㆍ4분기 697.9%에서 올해는 535.8%로 162.1%포인트 급락했다. 올들어 금리상승과 차입금 증가 등으로 이자비용은 늘어난데다 수익성 악화로 영업이익은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업체가 3개 중 1개에 달했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업체가 전년 동기 27.9%에서 32.6%로 늘어났다. 반면 기업의 성장성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ㆍ등록기업 전체 매출 증가율은 7.0%로 지난해 동기보다 4.6%포인트 상승했으며 제조업의 상반기 매출액 증가율도 4.6%포인트 높아진 6.3%를 기록했다.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6월 말 현재 80.4%로 3월 말보다 0.8%포인트 하락했으나 차입금 의존도는 3월 말 19.0%에서 19.5%로 다소 상승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