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李대통령-박근혜 회동… 親朴 전원 복당 합의 가능성

10일, 100여일만에 회동… 李대통령, 집권초반 위기 돌파위해 손내밀어… 7월 전대이후 당 지도부 구성등도 논의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이명박 대통령과 회동을 하루 앞둔 9일 국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고영권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범여권 위기 돌파를 위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손을 내밀었다. 10일 청와대에서 오찬회동을 갖게 되는 두 사람은 지난 1월 23일 이후 100여일 만에 만나 국정운영과 여권 내부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집권 초반의 난맥을 수습하고 18대 국회 원 구성을 앞두고 여권 내부의 집안단속과 정비가 필요한 측면이 강하고 박 전대표로서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라는 현안이 걸려 있다. 지난 4ㆍ9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도 미국산 쇠고기 파문 등으로 국정 주도권을 잡지 못하고 있는 이 대통령으로서는 한나라당내의 내부전열을 재정비해 6월 국회에서부터 한미 FTA비준 등 국정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복안이다. ◇친박인사 복당문제 원칙적 합의 도출될 듯= 이번 회동의 핵심은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다. 이 문제는 당장 10일 회동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논의보다 상호간의 신뢰와 포괄적인 논의를 우선하는 박 전대표의 화법으로 보아 누구를 복당시키고 누구는 안 된다는 식의 논의는 하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다 당권ㆍ대권 분리를 주장해 온 이 대통령도 친박 인사 복당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할 형편이 아니다. 다만 청와대가 총선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만남을 제의했고 시기가 무르익기를 기다린 박 전대표가 만남을 수락한 것 자체가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에 양측의 의견이 상당히 접근했다는 관측이다. 한나라당의 한 핵심인사도 “박근혜 탈당설까지 제기되는 현상황에서 두 사람의 만남 자체가 정국수습을 위한 돌파구가 아니냐”며 “복당 문제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나라당내에서는 두 사람이 친박인사들의 전원 복당을 합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복당의 형식과 절차는 7월 전당대회 이후 당 대표가 중심이 돼 하는 형태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친박연대의 몇몇 인사들에 대해서는 복당 허용에 신중해야 한다는 부정적인 기류도 있다. 박 전 대표도 9일 국회 본회에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복당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이야기도 있겠죠”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회동후 여권내 권력구조 변화 가닥 =이번 회동에서는 또 7월 전당대회 이후 당 지도부 구성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 전 대표가 대표직에 관심이 없다고 표명했지만 이 대통령이 대표를 제안할 수 있고, 대표직 제안이 거론되지 않더라도 대표-원내대표-정책위의장 등 차기 당 지도부와 국회직 인선 등을 놓고 의견교환을 할 가능성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박 전대표가 대표직을 맡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대표는 이날 “탈당 인사들이 전부 복당이 되면 당 대표에 나가지 않겠다고 이미 말했다”며 대표직 제의가 와도 수락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 때문에 청와대 등 여권에서는 박 전대표측과 두루 가까운 박희태 의원이 7월 당대표를 맡고 이후 박근혜 전대표측과 복당문제와 당직 배분 등을 통해 당을 화합적으로 결합시키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친이계의 한 핵심의원은 “이번 사태에서 보듯이 신뢰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주요 지도부 이외에 나머지 당직에 대해 대탕평 인사가 논의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정동반자 관계 재확인= 이번 회동에서 친박 인사의 복당 문제가 해결된다면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동반자 관계는 자연스럽게 재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도 든든한 국정파트너를 얻게 돼 앞으로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쥘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회동에서 논의가 잘 될 경우 두 사람은 민심이반을 초래한 쇠고기 문제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 처리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FTA의 조속한 국회처리에 대해 이 대통령이 박 전대표에게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간의 정례회동 문제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에서 이미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자주 만나야 안정적인 국정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