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예금회전율 15년래 최저치 기록

자금흐름 경색-결제수단 다양화도 한몫

시중자금이 사용처를 찾지 못해 은행권의 예금만 계속 늘어나고 예금회전율은 1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지급액을 예금평잔액으로 나눈 수치인 예금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돈을 은행에 묻어두고만 있을 뿐 인출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자금이 원활하게 유통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3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예금 가운데 기업이나 개인이 자금을 잠시 예치해 두는 수단인 요구불예금의 회전율이 지난 3.4분기 21.0회로 지난 90년 1.4분기(19.2회)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99년에는 67.0회에 달했으나 2000년48.2회, 2001년 39.0회, 2002년 35.0회, 2003년 31.9회, 2004년 25.5회 등으로 계속떨어지는 추세다. 요구불예금 가운데 당좌예금의 회전율의 경우 지난 99년 1천105.6회에 달했으나지난해 394.6회로 떨어진뒤 올 3.4분기에는 402.4회로 다소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보통예금은 99년 42.8회를 정점으로 2001년 24.2회, 2003년 20.7회에 이어 지난해는 17.7회까지 떨어졌으며, 올들어서도 지난 3.4분기 14.3회로 지난 92년3.4분기(13.1회)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예금은행의 요구불예금은 지난 3.4분기 총 63조8천525억원으로 전분기에 비해서는 0.6% 줄었으나 사상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요구불예금은 시중은행 수신 중 20~30%를 차지한다"며 "최근의 경기회복 전망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래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 시중자금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예금회전율이 자금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로사용되는 것은 맞지만 이것만으로 경기상황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최근기업들의 결제수단이 전자어음 등으로 다양화된 것도 예금회전율 하락의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