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건축 비리의혹 수사 강남권으로 확대 조짐

'잠실 재건축…'압수수색<br>내달 동시분양 차질 우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 소속 수사관들이 17일 잠실 주공3단지 재건축 조합 사무실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인 후 관련 서류 등을 박스에 담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찰청이 17일 서울 잠실주공3단지 재건축조합 등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에 들어감에 따라 강남권 재건축 비리의혹 수사가 전면적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강남권 재건축조합과 시공사들은 경찰의 이번 수사를 예의 주시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오는 19일부터 시행되는 개발이익환수제를 피하기 위해 대거 분양신청을 한 강남 재건축단지들은 다음달 7일부터 시작되는 서울 5차 동시분양을 앞두고 분양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김영진 내집마련정보사 사장은 “저밀도 지구는 정부가 이미 분양승인을 해주기로 했던 것인데 이번에 한곳이라도 탈락하면 시장이 심리적으로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공사가 진행 중인 잠실주공3단지나 2단지의 경우 아직까지 조합비리 수사로 인해서 사업이 늦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경찰청의 재건축 비리의혹 수사는 지난달 성산동 재건축조합 비리 수사 때 신호탄이 됐다. 경찰청 수사가 잠실시영 아파트로 확대되면서 그 목표가 강남권으로 좁혀지기 시작했다. 경찰은 잠실주공3단지에 대해 재건축조합이 철거용역업체와 시세보다 4만~5만원 비싼 평당 12만원에 철거계약을 한 뒤 차익 수십억원 가운데 일부를 비자금으로 조성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펴고 있다. 경찰의 이 같은 수사방향에 따라 비슷한 사업방식으로 추진된 대부분의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이 일단 경찰수사의 사정권에 들어온 게 아니냐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경찰의 재건축 비리수사는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집값 안정 의지와 함께 재건축사업에 대해 엄정한 법질서 확립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권 재건축단지와 주택건설업체들이 긴장하는 것도 바로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