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은행에서 배우라

최근 금융당국이 국회에 제출한 국정자료들은 구조조정의 거센 풍랑에 휘말린 금융산업의 현주소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만하다. 올 상반기중 국내은행들이 최악의 위기에 몰린 것과는 대조적으로 외국은행 국내지점들은 유례없는 호시절을 맞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 은행들은 총 6조7,00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본 반면 외국은 지점들은 지난해의 2배가 넘는 총 5,0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상반기중 원화가 폭등해 엄청난 환차익의횡재를 보았을 것이고, 최근에는 시중의 돈이 너무 많이 몰려들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있는 것을 볼때 외국은행들이 호황을 누릴 법도 하다. 그러나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이 있다.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을 대거 회수한 것과는 정반대로 외은지점들은 가계대출을 대폭 확대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 경제의 최대 난제인 신용경색과도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그냥 강건너 불보듯 할 일이 아니다. 국감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중 외은지점들의 가계대출은 45%나 늘어난 반면 국내은행의 가계대출은 4.8% 감소했다. 올상반기는 시중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 대출을 최대한 억제했고 기존 대출금을 회수하기까지 했다. 그런 만큼 이 기간중 국내은행들의 기업대출이 4.6% 증가했다는 통계는 믿기지않을 정도다. 물론 늘어난 기업대출이 주로 5대그룹에 몰려 중소기업들은 홀대를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어쨌든 대출기피의 최대 피해자는 가계였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외은 지점들이 가계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려주지 않았다면 가계의 부담은 더 커졌을 것이다. 문제는 이같은 시중은행들의 가계대출 기피현상이 지금도 시정되고있지 않다는 점이다.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고 은행문턱은 높기만 하다. 담보와 보증이 없으면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는 너무나 어렵다.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소비자금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라고 하지만 별로 실효가 없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는 외은 지점들의 창구분위기와는 너무나 다른 모습이다. 외은지점들의 가계대출은 대부분 신용으로 이뤄지고 웬만하면 까다롭게 따지지않고 빌려주기 때문이다. 올상반기에 외은지점들도 국내은행과 비슷한 대출리스크에 노출된 것은 마찬가지였다. 그럼에도 외국은행들이 가계대출을 대폭 확대한 것은 리스크관리체계가 그만큼 탄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은행들도 이제는 담보에만 의존하는 전당포식 경영에서 벗어나 선진경영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 고객에게 봉사하는 새로운 출발을 해야할 것이다. 가계대출금리를 내리고 신용대출을 확대하는 조치는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해 발표한 3조원 규모의 소비자금융활성화방안도 가계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는 시중은행들의 발상의 전환이 없으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