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수신료 인상 없으면 대규모 적자 불가피”

김인규 KBS사장 방통위 상임위원회 회의서 설명

김인규 KBS 사장이 17일 수신료 인상안에 대해 논의하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전체회의에 출석해 “수신료 인상 없이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수신료가 인상되지 않으면 2014년까지 4,000억원 규모의 차입 경영을 피할 수 없다”며 “내년 말까지 디지털 전환을 차질없이 수행하려면 5,0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들어가 지금의 KBS 재원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사장에 대한 의견 청취는 KBS의 수신료 인상안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경영진의 입장을 들을 필요가 있다는 방통위 상임위원들의 뜻에 따른 것이다. KBS는 수신료를 월 3,500원으로 1,000원을 올리면서 광고는 현행대로 유지하는 내용을 담은 인상안을 제출했으나, 방통위 상임위원들은 지난 8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부정적인 의견을 낸 바 있다. 그는 광고의 현행 유지 부분에 대해 “개인적으로 KBS가 선진 공영방송의 모습을 갖추려면 광고를 폐지하거나 대폭 축소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의결권을 가진 KBS 이사회가 국민 부담 최소화 등의 차원에서 불가피하게 3,500원 인상안으로 결정한 것”이라며 “수신료 인상을 통해 유료 상업방송들과는 차별되는 고품격 방송 청정지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어 “명품 다큐멘터리를 곧 선보여 현재 4.5% 수준인 2TV의 다큐멘터리 비율을 10% 수준까지 확대하고 재난 정보를 24시간 제공하는 ‘통합 디지털 재난방송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시청자 접촉률을 디지털 전환이 완료되는 내후년까지 99%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