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설득력 없는 충고

“국내 굴지 회사의 고위임원이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장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는데 수긍하기가 쉽지 않네요.” 시화공단에서 전자부품업체를 운영하는 A사의 B사장이 던진 말이다. 우리나라처럼 대ㆍ중소기업간 ‘갑과 을’의 관계가 명확한 산업구조에서는 대기업의 경영 행태가 중소기업의 진로를 결정짓는 가장 큰 잣대라는 점을 간과한 게 아닌지 모르겠다는 반응이었다. B사장은 “경영관리 능력이 떨어지고 회사를 키우기 위한 인재 육성에 소홀한 곳은 일부에 불과하다”며 “중소기업을 상하 주종 관계로 인식하는 대기업의 경영마인드가 더 큰 걸림돌”이라고 토로했다. B사장이 이 같이 언급한 데는 그럴 만한 사연이 있었다. 협력업체로서 오랫동안 관계를 지속해온 전자업체 S사의 보이지 않는 견제를 감지하며 커다란 근심거리가 생겼기 때문이다. 하청업체를 견제한다는 게 쉽게 이해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유인즉 간단하다. S사의 계열사가 A사와 동일한 사업분야에 뛰어든 후 사업영역을 점점 잠식해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별다른 이유 없이 이 회사의 신제품에 대해 신뢰성 테스트 자체를 거부하고 납품물량도 대폭 줄이고 있다. B사장은 “S사는 최대 거래처이기 때문에 자칫 불만을 토로해 거래라도 끊기면 회사의 경영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납품업체로서의 현실 때문에 그냥 모른척하며 벙어리 냉가슴만 앓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또 대기업간 치열한 경쟁사슬로 중소기업만 죽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S사의 경쟁사에 신제품을 납품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가 S사가 곧바로 거래를 끊으려 해 할 수 없이 포기했다”며 “중소기업은 항상 을(乙)이 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로 인해 A사는 S사에 더욱 종속되는 관계로 고착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 말이 좋아 우수 협력업체이지 현실은 납품업체에도 못 미치는 조공업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B사장의 경우에서 보듯 많은 중소기업 사장들이 공감하는 대기업의 불합리한 경영 행태부터 고치지 못한다면 주위의 어떠한 충고도 중소기업인들에게는 설득력 없는 말잔치에 불과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