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동아건설 매각 미궁 빠지나

캠코 매각공고일 잠정연기 배경에 촉각

동아건설 경영정상화의 첫 단계인 매각 공고일이 잠정 연기돼 지연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8일 매각공고를 내고 이달 말까지 국내외 투자가를 대상으로 인수의향서를 접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법리적인 문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매각공고를 일단 미루기로 했다. 이로써 5월 중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하고 채권단 공동 자구계획을 마련해 오는 6월께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하려던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우발채무 등 자산평가에 대한 검증이 끝나지 않아 공고일을 몇 주간 연기하기로 했다”며 “다른 M&A 기업과 달리 동아건설의 경우 파산절차에 있는 회사를 회생시키는 일이라 간단치가 않다”고 말했다. 파산절차를 밟고 있는 회사를 살리는 작업이 처음인 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하기 위해서라는 지적이다. 채권단의 다른 관계자는 “최종적인 결정은 법원에서 하게 되는데 무턱대고 매각공고를 냈다가 수습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2000년과 2002년에도 채권자들이 동아건설 회생을 신청했으나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낮다는 법원의 판결로 기각됐었다. 캠코 안팎에서는 회사정리절차 개시를 법원에 신청하기도 전에 불거진 과열보도 경쟁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98년 9월 워크아웃에 들어간 동아건설은 2000년 11월 최종 부도 처리돼 회사 정리절차를 밟았으나 이듬해 5월 최종 파산 선고를 받았다. 이후 지난해 말 1, 2대 주주인 골드만삭스와 캠코가 동아건설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동아건설을 우선 매각한 후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해 회생시키는 방안(프리패키지)을 추진해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