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신지식인과 IT

「신지식인」이 제2건국과제인 「창조적 지식기반국가」건설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화두로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막스 베버(MAX WEBER)는 과거 산업혁명을 통해 산업자본주의사회를 만든 주역이 상공인이라고 분석했다. 그처럼 미래학자들은 21세기를 지식사회로 정의하고 그 주인공은 신지식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최근 신지식인과 지식산업이란 단어가 널리 회자되면서 그 개념이 지나칠 정도로 확대 해석되고 있다. 일례로, 신지식인의 개념을 일하는 방법을 개선 또는 혁신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사람으로 정의하다보니 단순 노동자까지 신지식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기준으로 신지식인을 정의할 것인가? 전세계적으로 글로벌 경영환경이 구축돼 정보 교류가 활발해지고 조직과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정보는 포화상태를 넘어설 정도가 됐다. 게다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때문에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덕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 로터스 연구소의 마이클 잭(MICHAEL ZACK)박사는 「지식은 의미있게 구성된 축적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다시 이를 공유·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그러므로 정보를 가공하기 위한 IT(정보기술)를 소유하지 못한 지식인은 이 시대가 요구하는 신지식인이라고 보기 힘든 것이다. 따라서 「IT를 활용해 일하는 방법을 개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람」을 21세기의 진정한 지식인이라고 하자. 이미 전미제조업자협의회(NAM)에서는 지식근로자의 첫번째 조건으로 IT소양을 꼽았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농산물 직거래망을 개설한 농민이나, 보육시설에 있는 자녀를 직장에 다니는 부모들이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춘 보육원장 등을 신지식인으로 꼽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난해 화제를 모았던 부즈앨런 「한국보고서」가 밝힌대로 국가와 개인이 선진국과의 지식격차를 좁힐 수 없다면 21세기 선진국 진입도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가오는 21세기 지식사회에서는 우리 기업과 국가, 국민 개개인이 IT시대에 걸맞는 진정한 신지식인이 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를 갖춰야 할 것이다. 얼마전 정보통신부에서 신지식인 양성 및 신산업 육성방안을 확정하고 「전국민의 인터넷 주소 갖기 운동」 등을 전개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한 정책이자, 신지식인과 IT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제대로 인식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