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가구업계와 수입관세

요즘 가구업계 관계자들을 만나보면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메뉴가 하나 있다. 바로 가구 원부자재에 붙는 고율의 관세를 하루빨리 폐지해야 국내 가구산업이 그나마 명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요 원자재인 파티클보드(PB)만 해도 기본관세 8%에 반덤핑 관세 7.67%까지 더해져 15.67%의 높은 관세를 부담하고 있다. 경규한 가구산업협회장도 최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국내 가구업계는 IMF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며 "원자재 값 상승에 관세부담까지 더해져 중소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가구업계가 이처럼 볼멘 소리를 쏟아내는 것은 건설경기 침체로 매출 감소에 시달리고 있는 터에 주요 원부자재의 수입가격마저 천정부지로 치솟아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PB 가격은 올 들어서만 20~30%나 뛰어올라 원가상승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국내 가구업체의 95%가 영세기업으로 이뤄져 있다 보니 치솟는 원가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폐업에 이르는 사례도 잇따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형 가구업체들은 생산을 위탁할 중소업체를 찾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을 정도다. 더욱이 수입산 완제품의 경우 높은 관세를 물지 않는 반면 해외에서 들여오는 PB에 대해서만 고율의 관세를 매기다 보니 오히려 완제품 수입을 부추기는 왜곡현상마저 빚어지고 있다고 가구업계는 하소연하고 있다. 가구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국내산 PB로는 전체 수요의 60%를 충족시킬 수밖에 없다"며 "국내에서 조달하지 못하는 원자재를 높은 관세까지 부담하며 외국에서 갖다 쓰라는 것은 생존기반 자체를 무너뜨리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관세 장벽이 사라져 동남아산 저가제품이 쏟아져 들어오면 국산 자재의 설 땅이 없어지고 결국 국내 가구업계 피해로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가구업계가 눈앞의 이익에만 매달려 관련산업 전체를 위기로 내몰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현재 PB에 매기는 반덤핑 관세조치는 내년 4월이면 시한이 만료될 예정이다. 국내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솔로몬의 지혜가 절실한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