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사 연체금 회수 총력전

`연체 회수의 마지막 기회를 잡아라` 신용카드사들이 5월을 맞아 연체금 회수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지난달까지 구조조정을 위해 조직을 추스리고 자본을 확충하느라 여념이 없었다면, 대부분의 카드사이 증자 계획을 확정하고 조직 정비가 마무리된 5월은 심리적이 부담 없이 채권 회수에 몰두할 수 있는 적기라는 것. 특히 적기시정조치의 기준 시점을 앞둔 내달 중에는 연체율을 끌어내리기 위해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집중적이 대손상각을 벌이게 될 가능성이 높아, 업계에서는 5월이 제 값에 연체를 처리할 수 있는 마지막 타이밍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6월 말 기준으로 30일 이상 연체율이 10%를 웃돌고 적자를 내는 카드사는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아 `부실`의 낙인을 찍히게 된다. 금감원은 카드사들이 상반기중 총 2조3,000여억원의 자본 확충 계획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적기시정조치를 받는 회사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금감원 조치가 아니더라도 회사별로 분기말 연체율이 집계되는 시점이니만큼, 카드사 입장에서는 6월의 연체율 끌어내리기가 하반기 경영 사정을 크게 좌우할 가능성이 높다. 카드사 관계자는 “어차피 5~6월에는 연체 잡기가 최대 관건”이라며 “단 시간 여유가 없는 6월에는 장기적인 손실을 감수하고 공격적인 채권상각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장기 연체를 회수하기에는 5월이 사실상 마지막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유동성 불안과 대주주의 증자 참여 여부를 둘러싼 어수선한 분위기가 어느 정도 가라앉음에 따라 이달 들어서는 채권 회수 압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 특히 최근에는 30일 미만의 신규 연체가 줄어드는 추세여서 카드사마다 30일 이상 3개월 미만의 중장기 연체에 대한 집중 회수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 카드업계 관계자는 “1ㆍ4분기중 신규 연체 단속을 위해 30일 미만 채권에 대한 회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면, 지금은 신규 연체는 어느정도 잡혔다고 보고 신용불량자로 넘어가기 직전의 기존 연체자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경립기자 klsin@sed.co.kr>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