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硏 "헤지펀드 유입 조짐 보인다"

내년 2단계 외환자유화(완전자유화)를 앞두고 헤지펀드의 유입이 시장교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금융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금융연구원은 10일 '국제금융환경변화속의 주요 이슈'라는 보고서에서 "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 10억달러대에 불과하던 헤지펀드들이 최근 아시아 지역의 경기회복세를 타고 60억∼70억달러 규모로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고 밝혔다. 현재 영국계 헤지펀드인 플래티넘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국내 자산 운용사인 마이에셋을 통해 2억달러를 투자했으며 무어캐피털, 소로스펀드 등도 국내 주식.외환시장에 대한 투자를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융연구원은 최근 국내 증시의 변동성 확대를 배경으로 외국인 주식투자자들의투자패턴이 단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헤지펀드의 유입이 본격화될 경우 현재 일일거래규모가 15억∼20억달러에 불과한 국내 외환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연구원은 따라서 국내 금융기관들의 외환부문 건전성 규제 및 대외자본거래보고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98년 홍콩달러에 대한 헤지펀드들의 투기적 공격사례를 거울삼아 내년부터실시될 2단계 외환자유화조치에 있어 비거주자의 원화차입한도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헤지펀드는 100명 미만의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해 각종 투자기법을이용해 자금을 운용한 후 투자실적에 따라 배당하는 사모투자파트너쉽을 말한다. 사모라는 특성으로 인해 헤지펀드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미 대통령 산하 금융시장 관련 실무그룹에 따르면 98년 중반 현재 2천500∼3천500개의 펀드가 2천억∼3천억달러의 자본으로 8천억∼1조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연합뉴스 입력시간 2000/03/11 00:0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