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문어발' 비판에… 대기업 M&A 실종

■ 경제민주화 6개월의 그늘<br>국내 지분취득 사실상 0<br>해외기업 투자로 눈돌려


경제민주화 이슈가 몰아친 최근 6개월 동안 국내 10대 그룹의 벤처기업 지분취득 등 국내 인수합병(M&A) 실적이 '0건'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치권이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증가를 '문어발식 확장'으로 매도해 M&A를 기피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9일 서울경제신문이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집단 계열사 증감 현황 자료를 조사한 결과 2012년 10월부터 2013년 3월까지 6개월간 10대 그룹의 국내 기업 지분취득 현황은 사실상 '0건'으로 드러났다.


이 자료에 따르면 경제민주화 이슈가 몰아친 이 기간 10대 그룹의 지분취득(M&A)은 단 2건으로 롯데그룹의 하이마트(롯데쇼핑 인수), LG그룹의 퓨처(LG생활건강 인수)뿐이다. 하지만 롯데의 하이마트 인수는 2012년 7월 인수가 마무리된 것이고 LG그룹의 퓨처 인수도 부동산 매입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실제로 10대 그룹의 국내 기업 M&A는 전무한 것과 다름없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6개월간 대기업들은 경제민주화 드라이브를 거는 정치권의 표적이 되지 않으려 극도로 몸을 사려왔다"면서 "그러다 보니 앞뒤 가리지 않고 계열사 수를 줄이는 데만 치중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10대 그룹의 국내 M&A 포기는 자본투자의 해외이탈로 나타났다. 실제로 삼성ㆍLGㆍ롯데 등은 이 기간 영국과 이탈리아 등 유럽 업체 인수에 적극 나섰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기업을 인수하면 의도와 상관없이 경제민주화를 거스르는 행동으로 비난 받을 게 뻔하지 않느냐"며 "굳이 이런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없었다"고 해외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경제계 안팎에서는 대기업의 계열사 증가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문어발식 확장에 대해서만큼은 재계도 정부와 정치권 못지않게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벤처기업 M&A 활성화를 위해 대기업들이 계열사가 늘어난 것에 부담을 덜어야 한다고 강조한 만큼 계열사 증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