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개법」 전이라도 할수있는 대책 다 강구/은행·종금 인수합병 우선과제…신속처리/부실기업정리·국제금융 전문가 “공인”임창렬 신임 경제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19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IMF의 도움없이 우리 힘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며 난국극복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여줬다.
과천 경제부처 관계자들은 이같은 임 부총리의 공언을 비교적 무게있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부실기업정리 전문가와 국제금융통으로 공인받고 있는 림부총리의 능력이 우리 경제의 자력회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정통재무관료인 임부총리는 85년 3월부터 86년 11월까지 재무부 이재국장으로 재직하면서 국제그룹 정리, 해운산업 합리화, 해외건설산업 합리화 등을 마무리지은 주역. 림부총리는 80여개에 이르는 부실기업을 정리하는 실무책임자로 일한 뒤 이해관계자들의 구설수에 휘말려 자의반 타의반으로 IMF대리이사로 좌천, IBRD이사 파견근무 등 모두 4년여개월을 외국에서 생활해야 했다.
임 부총리에 대한 기대는 경력보다 일을 대하는 자세와 능력에 기인한다는 평가가 많다. 림부총리는 통산부장관 취임과 동시에 무역수지 적자 확대 등 모든 경제난의 원인을 반도체가격 하락에 싸잡아 떠넘기는 정부의 태도를 무책임하다고 비판하며 산업전반의 경쟁력 회복이 문제의 초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산업구조조정 정책을 본격화하고 아이디어에 머물던 벤처기업 육성시책을 제도화했다.
청와대는 임 부총리의 발탁 이유로 ▲한미자동차협상 과정에서 강단있는 자세 ▲재무부차관보로 참가한 UR협상 당시 보인 국제협상 능력 ▲위기관리 돌파력 등을 꼽고 있다. 한때 잊혀진 인물로 치부되던 임 부총리는 91년 재무부 증권국장으로 간신히 본부에 복귀한 뒤 불과 6년만에 조달청장, 과기처차관, 해양수산부차관, 재경원차관, 통상산업부장관을 거쳐 부총리까지 승승장구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를 시사하는 지적들이다.
임부총리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전문의사인 주클리닉원장 주혜란씨(49)와의 사이에 2녀를 두고 있다. 다음은 임부총리와의 일문일답.
―어려운 시기에 경제부총리에 임명된 소감은.
▲국민경제의 회복을 위해 있는 힘을 다해 노력하겠다. 기업·정부 모두가 좀 더 자신감을 갖고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우리 경제는 중장기적으로 보면 나쁘지 않고 위기를 극복할 힘이 있다. 수출이 매달 17∼18%씩 늘고 있고 무역수지 적자도 없다. 좀 더 노력만 한다면 월별실적 흑자도 가능하다. 그러나 해외교육·관광 등으로 올 한해만 80억달러 이상 무역외수지 적자가 예상돼 국민 한사람 한사람의 협조가 절실한 시점이다.
―IMF구제금융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데.
▲필요하다면 검토해 보겠지만 우리 경제는 IMF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좀 더 검토해 봐야겠지만 국제금융시장의 도움을 얻어 부족한 외화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MF 구제금융이란 용어도 없다.
―금융산업 구조조정에 대한 생각은.
▲우리 금융산업이 현 상태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공신력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금융개혁법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개혁법안이 통과됐다면 시장안정대책이 더욱 강력하게 뒷받침됐을 것이다. 앞으로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마무리짓도록 노력하겠다. 법개정 이전이라도 정부차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 처리하겠다.
―종금사와 은행의 인수합병 문제는.
▲구체적인 방법을 더 검토해야 할 것이다. 올들어 대기업들의 부도가 속출하면서 부실여신이 많아졌다. 이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공신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올해말까지 갚아야 할 외화차입액이 상당한 데.
▲한국만큼 이자를 꼬박꼬박 갚는 나라가 없을 정도로 우리는 세계금융시장에서 우량고객이다. 신뢰성있는 정책을 내놓는다면 세계금융시장도 돌아설 것이다.
―금융실명제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인가.
▲생각해볼 시간을 달라.
―금융감독위원회 설치를 둘러싸고 재경원과 한국은행이 마찰을 빚고 있는데 전향적으로 재검토할 생각이 있는가.
▲그것은 나중에 다시 논의해도 된다. 시급한 것은 그동안의 금융감독 체제가 허술했다는 점이다.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미리 파악하면서 대처하면 문제가 커지기 전에 대처할 수 있다. 금융권의 자율경영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감독기능을 크게 강화할 생각이다.<최창환·한상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