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소설 읽으면 뇌기능 활성화된다

소설을 읽으면 뇌기능이 활성화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에모리 대학 신경연구센터의 그레고리 번스 박사는 소설을 읽으면 뇌의 몇몇 특정 부위에 변화가 나타나며 이러한 변화는 소설을 읽고 난 후에도 최소한 여러날 지속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19일에 걸쳐 진행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번스 박사는 밝혔다.

그의 연구팀은 첫 5일 동안은 매일 아침 머리가 쉬는 상태에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이들의 뇌를 관찰했다.

그다음 9일 동안은 고대 이탈리아의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 이야기를 그린 로버트 해리스의 스릴러 소설 <폼페이>를 매일 저녁 30페이지씩 읽게 하고 그다음날 아침 역시 뇌 fMRI를 시행했다.

소설 읽기가 끝난 뒤에도 5일 동안 매일 아침 fMRI로 뇌를 살펴봤다.

그 결과 소설을 읽은 다음날 아침엔 언어의 감수성을 관장하는 뇌부위인 좌측두엽(left temporal cortex)의 신경회로가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번스 박사는 실제로 소설을 읽고있지 않는데도 소설을 읽고 있을 때처럼 이 부위가 활성화되는 것은 근육기억과 비슷한 ‘그림자 활동’(shadow activity)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뇌의 1차 감각운동 영역인 중심구(central sulcus) 역시 활성화됐다.

이 부위의 신경세포는 신체감각을 일으킨다. 이를테면 달리는 동작을 생각만 하고 있어도 달리는 신체동작과 관련된 신경세포들이 활성화된다.

소설을 읽을 때 이 뇌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은 읽는 사람이 마치 소설의 주인공이 된 것처럼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번스 박사는 설명했다.

훌륭한 주인공이 나오는 소설을 읽으면 자신이 마치 그 주인공이 된 것 같은 느낌을 갖는데 이 것이 실제 생물학적으로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번스 박사는 이러한 뇌신경세포의 변화는 소설 읽기가 끝나고 최소한 5일이 경과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면서 실제로 이러한 변화가 언제까지 지속되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전체적인 실험결과는 마음에 드는 소설을 읽었을 때 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의외로 크고 오래 간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뇌 연결성’(Brain Connectivity) 최신호에 실렸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