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비스산업 둔화 확연

소비심리 급속 냉각...백화점 매출 15달만에 감소세 부동산 경기와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해지면서 소비심리도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상승을 이끌었던 서비스업의 활동도 둔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도ㆍ소매업은 물론 금융보험ㆍ운수 및 통신ㆍ교육서비스ㆍ사업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주요 업종의 증가세가 모두 둔화돼 그동안 경기회복을 선도해온 서비스업의 향후 전망도 불투명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9월 중 백화점 매출액은 추석 특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6월 이후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서 소비둔화세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중 서비스업 활동동향'에 따르면 8월 중 서비스업 생산활동은 전년 동월 대비 7.9% 증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올들어 두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도ㆍ소매업은 자동차 판매가 31.3%나 급증했지만 도매업종의 증가율이 2.7%까지 떨어지면서 전체 증가율은 5.1%에 머물렀다.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는 지난달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던 부동산업이 4.7%로 다소 증가했지만 인력공급업, 광고업, 컴퓨터 운영 등 사업서비스 분야 증가율이 떨어지면서 8.6%를 기록했다. 9월 들어 민간소비의 둔화세는 더욱 확연해지고 있다. 승용차와 가전제품의 판매증가율이 한풀 꺾인데다 추석 특수 역시 예상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이날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9월 대형 유통업체 매출동향에서는 백화점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했다. 지난해 6월(마이너스 0.6%)에 감소한 이후 15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연선기자 [TODAYTOPIC]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