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픈프라이머리’ 野 판도라 상자 될까

새정연 내 불협화음 계속…비노, 文 제안 '빅딜'에 부정적

10일 의총서 관련 논의…자칫 계파 갈등 확대될 가능성도

새정치민주연합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문제를 두고 연일 불협화음을 이어가고 있다. 오픈프라이머리 문제에 대해 친노-비노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오픈프라이머리 문제가 당내 계파 싸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새정연은 10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선거제도 및 공천제도와 관련한 당내 입장 정리에 나선다. 문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빅딜’ 문제가 가장 큰 관심사지만 일각에서 이와 관계 없이 오픈프라이머리 수용 가능성을 제기하는 분위기도 감지돼 관심이다.


앞서 이종걸 새정연 원내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와 관련, 기자들과 만나 “공천권을 국민에게 드린다는 이미지상의 장점이 있다”며 “검토를 해보고 시뮬레이션을 해봐야 한다. 논의해보겠다”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석현 국회부의장 등 일부는 김 대표가 제안한 방식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당내 대립은 문 대표의 ‘빅딜’ 제안 자체에 기반하고 있다. 당내 비노(비노무현)계는 문 대표의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시도를 친노계 영남권 인사들의 원내 진입 교두보 마련을 위한 포석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당 지도부에서는 여당에 ‘빅딜’ 수용을 촉구하는 쪽이지만 당내에서는 문 대표를 견제하면서 이에 동의하지 않는 의원들 숫자가 늘고 있다. 8일 새정연 소속 광주·전남 의원들과 일부 비주류 의원들은 광주에서 만찬회동을 갖고 ‘빅딜’ 관련 문제를 포함한 문 대표 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임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런 분위기가 선거·공천제도 문제가 의총에서 논의되는 과정 중 불거져 나올 경우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는 우려다. 비노계에서 문 대표를 비판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논의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식으로 의견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