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중은행 주택대출 과열경쟁 조짐

제살 깎아먹기식 금리인하… 건설사 상대 로비전 가열

시중은행들의 주택대출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신규 먹거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주택담보대출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주택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마저 반영되며 제 살 깎아먹기 식 금리경쟁이나 건설사들을 상대로 한 로비전도 가열되고 있는 모습이다.

29일 금융계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27일부터 85㎡형 이하 주택의 담보대출에 대해서는 우대금리를 0.2%포인트 적용해주기로 했다. 시중은행마다 우대금리 차이가 2~3bp(1bp는 0.01%)에 불과한 상황. 이 때문에 0.2%포인트 우대금리 적용은 '파격적'이라는 것이 시중은행들의 반응이다.


KB국민은행의 9월 현재 주택담보대출 최저금리는 3.46%, 평균금리는 3.62%로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이 소매금융 강화를 강조하면서 최근 2~3개월 동안 특판금리를 앞세워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 고객들을 공략하고 있다.

주택시장을 둘러싼 시중은행들의 경쟁은 집단대출 부문에서 더 치열하다. 분양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회복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시중은행들이 집단대출 유치를 위해 '제 살 깎아먹기 식' 금리인하 경쟁을 보이고 있다. 이미 수도권의 일부 유망 사업장은 집단대출금리가 3.4%선까지 내려왔다. 지방의 경우에도 인기 분양사업장을 중심으로 3.5~3.6%선에 집단대출금리가 형성돼 있다. 이에 대해 금융계 관계자들은 "인건비도 채 건지지 못할 정도로 (집단대출금리가) 출혈경쟁으로 치닫고 있다"고 지적한다.


시중은행들의 건설사 담당자들이 인기 분양사업장의 시공사나 시행사 담당자들을 '도시락 싸들고' 찾아다니며 로비전을 펼치는 모습도 재연되고 있다.

관련기사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경기침체 및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시중은행들이 자산운용에 한계를 느끼면서 위험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담보대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까지는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제한적인 데 반해 공급자(은행)는 넘쳐나니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