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휴에 가볼만한 경기도 축제

경기도교육청은 중학교 3년, 고교 3년의 현행 ‘3+3 체제’교육과정을 중학교 3년 및 고교 1년, 고교 2년으로 나누는 ‘4+2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는 전반기 4년은‘창의·지성교육 과정’으로, 후반기 2년을 ‘창의형 진학·진로과정’으로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중ㆍ고교 교육과정 체제 전환 등 시행을 둘러싸고 향후 교육과학기술부 등과의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김 교육감은 취임 2년을 맞아 2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를‘혁신교육 선진자치지역’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선언한 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6대 핵심 과제를 발표했다. 6대 과제 가운데 핵심은 중·고교 교육과정의 개편, 교원 선발 시 인성·자질 검증, 초·중학교 전면 무상급식 실시 등으로 요약된다. 이들 과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초ㆍ중등 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해 창의ㆍ지성 교육을 적극 도입하고, 현재 ‘3+3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중ㆍ고교 교육과정을 ‘4+2 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4+2 체제는 중학교 3년과 고교 1년을 묶어 4년을 창의ㆍ지성교육 과정으로, 고교2~3학년 2년을 창의형 진학ㆍ진로과정으로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교원임용 방식도 교사로서의 품성, 자질 등 임상능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면 개편된다. 또 교사들의 창의ㆍ지성 교육역량 등 자질향상을 위해 생애주기별 새로운 교사연수 프로그램(NTTP)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김 교육감은 현재 경기지역 전체 초등학교에서 시행중인 무상급식을 이르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유치원과 중학교 전체로 확대하기로 했다. 중학교 전면 무상급식을 시행할 경우 1개 학년에 400억원 가량의 예산이 소요되며 유치원의 경우 일부 유치원에 급식지원이 이뤄지고 있어 370억원 정도 추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도교육청은 보고 있다. 또 학교 구조도 교육활동 중심으로 개혁하기로 하고 행정실과 교무실을 통합한 교육지원실을 운영하고, 교육행정 전담 인력을 확충해 교사들이 수업연구와 학생 지도에만 충실할 수 있도록 정비하기로 했다. 김 교육감은 “혁신교육 선진자치지역 실현을 위해 정부는 규제와 간섭을 과감하게 줄이고 지역 교육자치를 지원하는 체제로 역할을 전환해야 한다”며 “교육자치단체와 단위학교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을 책임질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권한을 이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병래 도교육청 대변인은 “앞으로 추진할 6대 중점 과제는 현행법과 규정 내에서 모두 실현 가능한 것”이라며 “교육과정 개편은 6-3-3-4로 돼 있는 현행 학제를 개편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과정 개편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없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