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에 `제동'

서울의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 중 하나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의 재건축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서울시는 제10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14일 열어 둔촌동 170-1번지 일대 둔촌주공아파트(62만6천㎡.18만9천 평)의 주택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안을 심의 보류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주민들은 이날 제출한 지정안에서 단지 내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용도지역을 대폭 3종 주거지역으로 상향 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2종 주거지역(층고 12층) 57만㎡ 가운데 48만2천㎡를 3종으로 올리는 대신 학교나 공원,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이 들어설 6만5천㎡는 1종 주거지역, 혹은 2종 주거지역(층고 7층)으로 내리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주민들은 또 용적률 250%에 26평형 2천14가구, 34평형 4천44가구, 45평형 1천782가구, 51평형 1천379가구, 62평형 257가구, 71평형 200가구 등 9천676가구(임대 1천600여 가구 포함)을 짓겠다는 건축계획을 냈다. 2종 주거지역을 3종으로 상향하면 기본 용적률은 200%→250%로, 층고는 평균 16층→무제한으로 완화된다. 주민들은 용도 상향의 이유로 중앙하이츠(20층), 신성은하수(24층), 올림픽선수촌(14∼24층)아파트 등 인근 아파트와 비교할 때 용적률, 층고가 크게 차이 난다는점을 들었다. 그러나 대규모 2종 아파트단지인 이곳의 용도지역을 올려줄 경우 재건축 시장이다시 들썩이는 등 가격 불안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또 이미 2종 주거지역으로 결정된 가락시영 등 다른 아파트단지와의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소지도 있다. 시 관계자는 "용도지역 상향을 놓고 공동위 위원들 간에도 논란이 심했다"며 "결국 2종(평균 층수 16층)으로 다시 건축계획을 세워오라며 안건을 보류했다"고 전했다. 공동위는 그러나 서초구 방배동 427-1번지 일대 4만6천㎡에 대한 주택 재건축정비구역 지정안은 통과시켰다. 통과된 지정안은 층고가 7층으로 묶인 2종 주거지역 3만1천㎡를 12층 2종 주거지역으로 변경하고 용적률 221% 이하, 평균 층수 16층(최고 18층) 이하 범위에서 재건축을 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