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KT "중국 사업구도 큰 변화없다"

中 통신서비스 산업 국유화강화 방침 불구<br>中국유기업과 제휴·이통기술 협력 이미 진행<br>통신분야 외자지분 규정 완화는 오히려 호재<br>일부선 "후속조치 면밀히 분석해야" 신중론도


중국 정부가 최근 통신서비스산업에 대한 국유화 강화 방침을 발표하자 SK텔레콤의 중국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9일 통신 서비스를 포함해 군수ㆍ석유화학 등 7개 산업분야에 대해 국가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통신시장을 비롯해 이들 전략 산업에 대한 개방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반면 외국 업체들의 투자 및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섣부른 통제는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SKT는 현재 중국 2위의 이동통신업체인 차이나유니콤과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SKT는 10억달러 규모의 차이나유니콤 전환사채를 보유중이다. 이를 차이나유니콤 주식으로 전환하면 약 6.7%의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SKT는 중국 정부와 중국방식의 이동통신(TD-SCDMA) 서비스 분야에서도 사업협력을 진행 중이다. SKT 관계자는 “이미 대부분의 산업이 국유화되어 있는 데다 제휴 대상에 중국 정부가 포함돼 있기 때문에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통신산업은 국영기업으로만 구성돼 있다. 중국 정부도 7개 산업 국유화 정책을 설명하면서 “정보통신 분야의 국유기업에 민간자본이나 외국인 자본을 끌어들여 소유구조 다원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11일 통신사업자의 외국인 지분 제한 규정을 완화해 지분 상한선을 35%에서 49%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것도 SKT로서는 호재다. 통신업계 관계자들은 “중국이 자체적으로 추진중인 TD-SCDMA의 기술을 육성하려면 해외 업체들의 투자와 기술이전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에 통신시장을 폐쇄적으로 운영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KT는 중국 정부 및 차이나유니콤과 제휴를 더욱 강화해 SKT의 통신기술 역량을 성공적으로 이전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할 방침이다. 반면 중국 정부의 정책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 시장 진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양정석 코트라 동북아시아 팀장은 “중국 정부가 기본적인 방침만 밝힌 상태에서 섣불리 예단하기는 힘들다”면서 “해당 분야에 대한 국내 기업의 투자 규모와 파급효과, 중국 정부의 후속조치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SKT 관계자도 “중국의 통신시장 개방은 이제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면서 “앞으로의 시장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