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구조조정 소극적 기업 대출금 회수"

금융당국, 전방위 압박나서

금융당국이 구조조정 및 재무구조 개선에 미온적인 기업에 대해 대출금 회수에 나서는 등 전방위 압박에 나서기로 했다. 이는 경기회복을 틈타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외면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데다 채권은행도 당장의 손실을 우려해 기업 재무구조 개선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27일 "채권단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맺은 대기업 그룹을 포함해 기업 구조조정이 속도를 못 내고 있다"며 "구조조정을 거부하거나 안이하게 생각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단이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고 회수하는 것은 물론 신규 대출도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기업이 경기회복에 기대어 버티면 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며 "일부는 계열사를 비싼 가격에 팔려고만 하고 실질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등 구조조정 의지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재무구조 개선 대상인 9개 그룹 가운데 동부그룹의 동부메탈 매각과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금호생명 매각 등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구조조정 작업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C등급(워크아웃 기업개선작업 대상)을 받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22개 대기업에 대해 채권단이 오는 10월 중순까지 경영정상화 약정(MOU)을 맺도록 할 방침이다. 또 7월 중소기업 1차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으로 분류된 77곳은 10월 말까지 MOU를 체결해야 한다. 이때까지 특별한 사유 없이 워크아웃 개시를 위한 MOU 체결을 꺼리는 기업은 채권단으로부터 여신회수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 지금까지 MOU를 맺은 곳은 대기업 5곳, 중소기업 30여곳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